PCR 포화상태…내일부터 입국자·입대장병 검사 축소

  • 뉴시스
  • 입력 2022년 3월 9일 08시 34분


코로나19 유전자증폭(PCR) 검사 수요가 포화 상태에 이르자 방역 당국이 해외입국자, 감염 취약시설 종사자, 입영 장병 등 선제 검사 대상자의 검사 횟수를 축소하기에 이르렀다.

하루 최대 85만건까지 가능한 PCR 검사 역량을 단기간에 늘리기 어려운 만큼 선제 검사 수요를 일부 줄여 고위험군 대상 검사체계를 유지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9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오는 10일부터 코로나19 진단검사 체계가 일부 개편된다.

이에 따라 입국 후 7일간 격리해야 하는 해외입국자는 입국 1일차에만 PCR 검사를 받는다. 7일차에는 종전 PCR 검사 대신 신속항원검사(RAT)를 받게 된다. 단 격리시설에 입소한 입국자는 종전처럼 1일차와 7일차에 PCR 검사를 받는다.

방대본은 해외 유입 확진자 대부분이 입국 1일차 검사에서 양성이 확인되는 점을 고려했다. 입국 초반에는 정확도가 높은 PCR 검사를 하되 7일차에는 RAT에서 양성이 확인된 경우에만 추가로 PCR 검사를 하는 것이다.

요양병원·시설 등 장기요양기관, 정신건강시설, 장애인시설 등 감염 취약시설 3종의 종사자는 4차 접종 후 2주가 지나면 PCR 검사를 주 2회 실시해야 하는 의무가 면제된다.

단, 4차 접종 여부와 관계없이 RAT 주 2회 실시 의무는 유지된다. 그 외 대상자는 종전처럼 PCR 검사와 RAT를 각각 1주에 두 번씩 받아야 한다.

입대 후 각각 1일차와 8일차에 진행됐던 입영 장병 대상 PCR 검사는 ‘입대 전 1회’로 축소된다. 입영 장병 검사 횟수를 1회로 줄이되 입대 전에 검사해 최대한 감염 유입을 차단하겠다는 방침이다.

방대본은 개편을 통해 추가로 확보한 PCR 검사 역량을 60세 이상 고령층, 밀접 접촉자, RAT 양성자 등 우선 검사 대상에 투입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처는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PCR 검사 수요가 한계에 직면한 상황에서 나왔다. 단기적으로 PCR 검사 역량을 추가로 확보할 수 없는 만큼 선제 검사를 축소해 고위험군 중심의 검사체계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당국에 따르면 국내에서 하루에 안정적으로 감당할 수 있는 PCR 검사 역량은 최대 85만건이다. 이는 검사기관에서 보건소에 검사 결과를 하루 이내에 회신할 수 있는 경우를 산정해 계산한 수치다.

당국은 지난달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화된 이후 고위험군이 PCR 검사를 먼저 받고 신속하게 치료할 수 있도록 검사체계를 개편했다. 고위험군은 ▲60세 이상 고령층 ▲‘검사 필요’ 의사 소견서 지참자 ▲밀접 접촉 등 역학적 연관자 ▲요양시설 종사자 및 의료기관 입원 전 환자 등 감염 취약시설 관련자 ▲RAT 양성자 등이다.

그러나 하루 20만명이 넘는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검사 역량을 초과하는 상황이 연이어 나왔다. 지난달 28일(3월1일 0시 기준) 하루 총 검사 건수는 역대 가장 많은 106만8586건으로 최대 역량의 25%를 넘었다. 지난달 21일·23일, 이달 2일·3일에도 85만건을 넘었다.

방대본 관계자는 “검사 결과 회신 시간이 평균 8~12시간이지만 검사량이 늘어나면서 일부에서는 18시간까지 증가했다”며 “검사 결과가 18시간 이내에 보건소에 회신되더라도 보건소 업무가 가중돼 결과 통보가 다소 지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방역 당국은 앞서 RAT 음성확인서 발급을 중단하고, 확인서 발급을 담당했던 행정인력을 PCR 검사 결과 통보 업무 등에 배치해 PCR 검사 결과 통보 시간을 줄이려 했다.

그러나 인력 재배치만으로는 늘어나는 PCR 검사 수요를 맞추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PCR 검사는 전문 검사 인력과 장비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단기간에 추가 여력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방역 당국은 PCR 검사가 아닌 전문가용 RAT에서 ‘양성’이 나오면 확진자로 분류하는 방안에 대해 이번 주 중 결론을 내리기로 했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선제 검사 횟수가 일부 축소되고 방식이 바뀌는 만큼 고위험군 감염 방지를 위해 선제 검사와 함께 추가적인 감염 감시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