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이 ‘마지막 고비’를 지나고 있다는 메시지를 잇달아 내놓고 있다. 하지만 한국보다 먼저 ‘오미크론 변이’ 유행을 겪은 해외 사례를 보면 유행의 정점이 지나도 한 달가량은 정점의 50∼60% 수준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거리 두기 완화에 따라 유행 정점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정점이 지난 뒤 방역을 완화하자 다시 확진자가 늘어난 나라가 적지 않다.
16일 국제 통계 사이트 ‘아워월드인데이터’에 따르면 영국의 주간 코로나19 확진자 수는 1월 첫째 주(2∼8일) 124만 명으로 가장 많았고 같은 달 셋째 주(16∼22일)에 64만 명으로 줄었다. 이후 감소세가 정체돼 2월 첫째 주(6∼12일)에도 52만 명이 나왔다. 일본도 확진자가 감소세로 돌아선 지 한 달이 넘었지만 여전히 정점의 절반 수준 확진자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우리 방역당국은 이달 16∼22일 하루 평균 37만2000명의 신규 확진을 정점으로 유행이 꺾일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영국과 일본의 유행 곡선이 국내에서 재연된다면 4월 말까지도 하루 10만 명대 후반의 확진자 규모가 이어질 수 있다.
방역을 섣불리 완화하면 유행 정점이 예측보다 길어질 거란 우려도 크다. 독일의 경우 주간 확진자 수가 2월 첫째 주 133만 명에서 3주 후 110만 명으로 감소했다. 하지만 방역 완화 계획을 발표하면서 이달 첫째 주(6∼12일)엔 137만 명으로 기존 최다 기록을 넘어섰다. 이탈리아와 호주도 최근 다시 확진자가 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선 기존 오미크론 변이보다 전파력이 약 30% 강한 ‘BA.2형’(스텔스 오미크론)의 비중이 커지고 있어 유행이 더 길게 이어질 우려가 있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6개월마다 새 변이가 나온 점을 감안하면 또 다른 유행이 찾아올 가능성도 배제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국내외 코로나19 대응을 연구하는 장영욱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끝날 때까진 끝이 아니다. 의료 체계 부담이 더 오래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