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계절독감 타령’하다…3월에만 5374명이 죽어나갔다

  • 뉴스1
  • 입력 2022년 3월 23일 11시 07분


23일 서울 송파구청에서 직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전광판을 확인하고 있다. © News1
23일 서울 송파구청에서 직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전광판을 확인하고 있다. © News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가 23일 기준 1000만명을 넘기면서, 위중증 환자·사망자 수도 연일 치솟고 있다. 이날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집계에 따르면 현재 재원 중인 코로나19 위중증 환자는 1084명, 사망자 수는 291명이다.

사적모임 인원축소, 영업시간 제한으로 자영업자의 원성이 높아지고, 코로나19 백신 2차 접종률이 80%를 돌파한 지난해 12월 초만 해도 일상회복에 대한 기대감은 높았다. 국민들은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패스 등 일상제한 조치를 ‘위드코로나’를 위한 진통으로 여겼고, 정부도 연일 K-방역를 자화자찬하며 코로나 종식을 자신했다.

그러나 불과 넉달 후 하루 평균 400명에 불과하던 위중증 환자 수는 1000명대로 급증했으며, 사망자 수 또한 20명대에서 200명대로 10배 넘게 늘었다. 특히 월간 사망자는 올해 1월 사망자 수는 1147명이었지만 지난달 1383명으로, 이번달 23일까지는 5374명으로 조사됐다. 지난 2년여간 누적 사망자 1만2428명 중 5374명, 즉 43%가 이번달에 발생한 셈이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지난해 11월 ‘단계적 일상회복’을 시작하면서 K-방역이 혼란에 빠졌다고 보고 있다. 당시 정부는 코로나19 관리 방향을 ‘확진자 억제’가 아닌 ‘중증·사망자 발생 억제’로 바꿨다. 경증·무증상을 보이는 확진자들은 모두 재택치료를 받도록 했다.

하지만 확진 판정을 받은 후 수일간 보건소로부터 아무런 연락을 받지 못해 사망하는 비극적인 사례가 이어졌고, 확진 판정을 받은 임신부가 구급차에서 출산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정책 결정과정에서 방역·의료 전문가들의 의견이 배제된 것도 패착의 원인으로 꼽힌다. 대선을 앞두고 표심을 얻기 위해 방역완화 정책을 펼쳐나갔고, 위중증 환자 수가 급증하는 결과를 불러 일으키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일상회복지원위원회를 담당하던 의료계 인사들이 직을 내려놓기도 했다. 결국 지난해 12월에는 중환자실에 입원을 하지 못해 수일간 대기하고, 결국 사망에 이르는 ‘병상대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전문가의 의견이 배제된 정책은 국민들에게 잘못된 시그널을 주기도 했다. 불과 한달 전인 2월22일 정부는 ‘코로나19는 풍토병이 되고 있다’ ‘오미크론도 다른 감염병과 같은 관리체계로 이행할 수 있다’며 장밋빛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결국 코로나를 계절독감과 유사하게 여기는 분위기가 만연해졌고, 9만명에 불과한 신규 확진자 수는 약 한 달만에(3월17일) 62만명으로 폭증하는 결과를 불러일으켰다. 같은기간 사망자 수는 58명에서 약 8배 증가한 429명으로 늘어났다.

더 큰 문제는 코로나19 확산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점이다. 위중증, 사망자 수는 2~3주 전 시차를 두고 벌어지는데, 이달 중순께 60만명의 확진자가 발생한 점을 고려하면 위중증, 사망자 수는 앞으로도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지금이라도 감염 규모를 줄이며 시간을 벌고 그사이에 중환자 전담 의료인력, 병상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탁 순천향대 부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안타깝지만 지금 시점부터는 이미 확정적 피해가 발생한다고 봐야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무 늦지 않은 시기에 의료적 개입을 해 환자가 중증으로 가는 것을 예방하거나 중증으로 가더라도 비가역적인 수준을 넘어선 시점에 병원에 오는 것을 줄이는 노력을 계속해야 한다”며 “소아, 수술, 분만 등 특수 환자의 대응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도 전날(22일) 자신의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모든 세상일이 그렇지만 신의한수나 요행은 방역에 없다”며 “정부의 정략에 치우치지 않는 투명한 위기 커뮤니케이션, 의료체계의 대비와 유연한 대응, 국민의 방역에 대한 신뢰와 준수, 예방접종 동참 등 우리가 지금까지 해왔던 부분들을 앞으로도 제대로 할 수 있느냐가 오미크론과 그 이후에도 계속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전문성을 갖춘 새로운 컨트롤타워를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김탁 교수는 “방역과 의료의 영역 중 의료대응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컨트롤타워가 미비했다고 생각한다”며 “향후에는 중수본이 아닌 의료대응의 전략을 제시하고 운영할 별도의 ‘기관’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