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감염자 중 면역력이 약한 만 60세 이상과 18세 이하의 비중이 44.8%에 육박하면서 확진자 사각지대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이날 0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8만7213명이다. 이 중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60세 이상 확진자는 3만3084명(17.7%)이며, 18세 이하 확진자 수는 5만747명(27.1%)에 달한다.
우려스러운 점은 60세 이상 고위험군의 비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한 주(3월22일~28일)간 60세 이상 확진자 비중은 15.7%→18.5%→18.0→18.8→19.9%→20.9%→17.7%로 증가세를 보였다.
연령군 중 백신 접종이 뒤늦게 시작된 18세 이하에서 확진자 비중도 늘고있다. 지난 한 주간 18세 이하 확진자 비중은 29.2%→26.5%→24.7%→24.1%→24.9%→24.3%→27.1%로 20%대를 유지하고 있다.
고위험군 확진자 비중이 늘어감에 따라 위중증, 준·중증 병상 가동률도 이날 70%를 돌파했다. 더 이상 외부환자를 받을 수 없는 상태인 ‘풀베드(full bed)’의 기준이 중환자 병상 가동률 80%인 점을 고려하면, 중환자 의료체계가 한게에 다다른 것이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날 기준 코로나19 위중증 병상 가동률은 70.0%(수도권 67.5%, 비수도권 75.9%), 준·중증 병상 가동률은 70.3%(수도권 66.2%, 비수도권 75.8%)를 기록했다.
당국에서는 지난 25일부터 고령층과 면역저하자도 동네 병·의원의 신속항원검사로 양성 판정을 받게되면 ‘재택치료 일반관리군’으로 배정하고, 의료공백을 막겠다고 밝혔다. 검사기관에서 확진 판정을 받은 후 보건소 조사와 환자 분류까지 2~3일 정도 걸리기 때문에 집중관리군으로 배정되고 관리기관으로부터 진단·처방을 받기까지 ‘공백’이 생긴다는 이유에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정부가 근거로 든 ‘의료공백’은 의료 역량의 한계를 드러낼 뿐 아니라, 이같은 조치는 동네 병의원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것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위중증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대면 진료를 확대하고 독거노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기석 한림대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도 “의료기관이 많은데도 (전문가들이 걱정하는 이유는) 고위험군을 보호할 만한 대책이 없기 때문”이라며 “촘촘히 망을 만들어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대면 진료를 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정부가 전화상담 처방 가능한 의료기관을 수천 개 마련했지만, 야간에도 상담되는 데는 지역별로 1개씩만 지정했다”며 “지역 협의체를 만들어 병·의원 야간 응급 대응을 독려해야, 60세 이상 고령층의 환자 대응도 가능해진다”고 덧붙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