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바지에 접어든 거리두기…‘일상회복’까지 넘어야 할 난관은

  • 뉴스1
  • 입력 2022년 4월 3일 07시 15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가 발표된 1일 서울 한 음식점에서 점주가 변경된 사회적 거리두기 문구를 붙이고 있다.  © News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가 발표된 1일 서울 한 음식점에서 점주가 변경된 사회적 거리두기 문구를 붙이고 있다. © News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상황이 정점을 지나면서, 코로나19 확산·감염 방지를 위한 일상 제한 조치들이 사실상 폐지 수순을 밟아가고 있다.

방역당국은 지난 1일 향후 유행 안정세가 유지된다면 2주 후에는 ‘실내 마스크 착용’을 제외하고 모든 방역규제를 없애는 것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 경우 지난 2020년 5월 도입된 사회적 거리두기가 약 2년 만에 폐지되는 셈이다.

당국은 오미크론 유행이 정점을 지나 감소세로 접어든 점을 이번 거리두기 조정의 근거로 들었다. 국민 10명 중 3명은 코로나19에 한 번 이상 감염된 점, 백신 2차 접종률이 86%에 달하는 점 등을 고려하면 향후 유행 증가폭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당국은 완화된 거리두기를 시행한다고 해도, 확진자 발생이 10~20% 증가에 그칠 것이라고 봤다.

위중증 환자가 1주일만에 1100명대로 줄어든 점 역시 거리두기 완화에 힘을 싣고 있다. 앞서 당국은 위중증 환자가 최대 1300명~1680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안정적 관리’ 조건으로 “2주일 후 위중증 환자가 급격히 증가하지 않고, 의료체계 여력도 현 수준을 유지하면 거리두기 체계를 전폭적으로 완화하는 논의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일상회복 기조에 대해 큰 틀에서는 동의하지만, 중환자와 사망자 방지를 위한 철저한 대책은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또 5~6개월 마다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나타난 점 등을 고려해 새로운 변이주가 나타났을 때의 메뉴얼을 세워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전날 자신의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엔데믹을 위해서는 첫째로는 유행 예측이 가능해야하고, 두번째로는 일상적인 의료시스템 안에서 관리가 가능해야 한다”며 “유행 예측이 가능하려면 특정 계절에 유행해야하고 사회와 의료시스템이 유행 규모를 감당해야하며 백신으로 고위험군 보호가 가능하고, 고위험군 감염자의 중증화를 막을 수 있는 치료제가 보편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중증 환자, 사망환자의 발생 수준이 중환자 의료체계가 버틸 수 있어야 하며, 요양시설, 요양병원이 유행시기에도 버틸 수 있는 여력이 필요하다”며 “엔데믹은 바이러스가 결정하게 될 것이고, 엔데믹이 되지 않았음에도 엔데믹화 시킬 수 있는 것은 우리의 준비 여하에 달려있다”고 조언했다.

김탁 순천향대 부천병원 감염내과 교수도 “사회적 거리두기의 효과가 이미 제한적인 상황이라 아직 감염되지 않은 사람의 비율이 얼마일지, 스텔스 오미크론(BA.2)의 전파력이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에 따라 향후 유행 양상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