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사회
“지난해 중문해수욕장서 방류한 ‘푸른바다거북’, 따뜻한 아열대 해역까지 성공적으로 남하했다”
동아일보
업데이트
2022-04-04 10:44
2022년 4월 4일 10시 44분
입력
2022-04-04 03:00
2022년 4월 4일 03시 00분
지명훈 기자
구독
코멘트
개
좋아요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확인
바다거북 개체인식표와 인공위성 추적장치를 부착한 모습.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제공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은 지난해 8월 제주도 중문해수욕장에서 인공위성 추적 장치를 부착해 방류한 어린 푸른바다거북이 2년 연속 따뜻한 아열대 해역까지 성공적으로 남하한 것을 확인했다고 3일 밝혔다.
해양생물자원관에 따르면 지난해 8월 26일 제주도 중문해수욕장에서 자연 방류한 푸른바다거북은 4년생 2마리다.
이 가운데 ‘KOR0152’는 대만 남부 해역으로, ‘KOR0153’은 중국 푸젠성의 푸저우시 남부에 성공적으로 남하한 것을 최근 확인했다. KOR0152는 한국에서 방류된 152번째 바다거북이라는 뜻이다.
앞서 2020년 9월 17일 제주에서 방류한 푸른바다거북 3년생(KOR0139)은 3847km를 헤엄쳐 베트남 동쪽 해안까지 이동한 것이 지난해 2월 확인됐다. 2년 연속 남하에 성공한 것이다.
바다거북은 부화 후 성체까지 성장할 확률이 1% 내외이고 초기 2년의 생존율은 매우 낮다. 어린 바다거북은 크기가 작아 인공위성 추적 연구도 쉽지 않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서식지가 아닌 곳의 보전기관(아쿠아플라넷 여수)에서 인공적으로 증식된 바다거북이 자연에 방류됐을 때 성공적으로 생존할 뿐 아니라 어린 시기를 보낼 따뜻한 해역으로 스스로 이동하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
한편 제주도에서 함께 방류된 붉은바다거북 성체 ‘KOR0151’은 강원도에서 가을을 난 후 지난해 12월 10일부터 남동쪽으로 이동해 독도 인근(20km 이내)을 지나 올해 2월 24일 현재 일본 야마구치현으로 이동한 것으로 확인됐다.
최완현 국립해양생물자원관관은 “푸른바다거북이 2년 연속 남하에 성공한 것은 해양보호생물에 대한 야생개체군 회복 노력이 헛되지 않음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결과”라고 말했다.
해양수산부는 국제적 멸종위기종인 바다거북을 보전하기 위해 국내에 출현하는 바다거북 5종을 해양보호생물로 지정하고 포획 및 유통 등을 법으로 금하고 있다. 또 인공증식을 통한 바다거북의 종 복원과 개체수 회복에도 힘쓰고 있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푸른바다거북
#남하 성공
지명훈 기자 mhjee@donga.com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지금 뜨는 뉴스
러 가스 끊긴 몰도바, 나무땔감까지 등장
조한창 “편향없이 재판” 정계선 “난국 수습” 신임 재판관 2인 탄핵심판 투입
‘崔대행 흉기테러’ ‘이재명 살해’ 협박 잇달아 경찰 수사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0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