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사회
“생사라도 알았으면…‘ 애타는 5·18 행불자 가족들
뉴시스
업데이트
2022-05-18 13:35
2022년 5월 18일 13시 35분
입력
2022-05-18 13:35
2022년 5월 18일 13시 35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내 아가 창현아, 엄마 왔다, 어디 있니…내 아들아.”
5·18민주화운동 42주년 기념식이 치러진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5·18국립묘지에선 42년 전 행방불명된 아들을 찾는 노모의 울음소리가 울려 퍼졌다.
1980년 5월 19일, 당시 일곱살이던 이창현 군은 외판원인 어머니가 외출한 사이 집을 나선 이후 옛 전남도청 인근에서 행방불명됐다. 온데간데 없이 사라진 지 어느덧 42년.
아들의 온기를 가슴에 묻고 살아온 어머니 김말임(78)씨는 아들 묘지에 노랑 케이크와 주스 3개를 올려놓았다.
‘7세의 나이로 학교를 다닌 지 2개월. 내아들 창현이를 가슴에 묻는다. 망월동에 고이 잠들어라’. 어머니는 아들의 묘비명을 연신 쓰다듬었다.
김씨는 세월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긴 주름진 손으로 사진으로만 남은 아들의 돌 사진을 어루만졌다.
그러면서 “죽어도 좋으니, 제발 행방만 찾게 해 달라”는 말을 되풀이하며 한맺힌 눈물을 흘렸다.
김씨는 “당시 아들을 인계 받은 헌병이나 생사를 알고 있는 사람을 만나고 싶다”며 “올해는 꼭 아들 생사라도 꼭 알 수 있으면 좋겠다”며 말을 잇지 못했다.
다시 5월을 맞아 행방불명자 묘역에는 참배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다. 시민들은 행불자 묘비에 적힌 안타까운 사연들을 읽으면서 국화 한 송이를 바치기도 했다.
서울에서 온 한모(47)씨는 “42년이 지난 지금도 계엄군에 의해 희생돼 생사를 알 수 없는 억울한 분들이 계신다”며 “이분들의 흔적을 찾는 조사와 진술들이 많이 확보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광주시민 박모(28)씨는 “아직도 신원이 밝혀지지 않은 채 행방불명된 희생자가 더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며 “피해 규모에 대한 보다 철저한 조사와 피해자 확인을 통해 국가폭력에 대한 실체가 속속 드러나길 바란다”고 전했다.
[광주=뉴시스]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트랙터 상경 농민들, 남태령서 경찰과 1박2일간 대치중
[속보]권성동 “내란·김여사특검법, 국정·여당 마비시키려는 野 속셈”
“MZ 이탈 막아라”…내년 9급 공무원 보수 월 16만원 오를 듯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0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