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경제와 연계해 재추진 나서 내년 6월까지 타당성 검증 용역
도입 땐 대중교통 활성화 기대… 충전 시간 짧고 운행 거리 길어
연료 운송-안전성 검증은 과제
제주도가 대중교통 전용차로를 설치하고 한 해 1000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면서 버스업체를 지원했지만 대중교통의 교통 분담률은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새로운 대중교통 수단으로 ‘트램’(Tram·노면전차)을 도입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어 관심을 모은다.
트램은 그동안 두 차례 도입이 검토되다 경제성 등을 이유로 보류된 사업으로, 이번에는 수소전기를 동력으로 트램을 설치하는 방향이 논의되고 있다.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11일 제주도의회 임시회에서 “그린수소 생태계 인프라를 구축하면서 버스, 청소차, 트램, 선박 등으로 수소경제 기반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제주도는 트램의 사업타당성 검증을 위해 제주도의회 동의를 얻어 9월부터 내년 6월까지 용역을 줄 예정이라고 12일 밝혔다. 트램 도입 가능성과 재정·민자 등 사업 방식은 물론이고 도 전역을 대상으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노선을 모색한다. 이번에 도입을 추진하는 트램은 수소전기를 동력으로 한다.
트램 도입이 다시 추진되는 것은 막대한 예산 투자에도 불구하고 대중교통 이용 환경이 나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공개된 제주도 ‘제4차 제주도 대중교통 계획안’에 따르면 2017년 대대적인 대중교통체계 개편을 통해 버스를 확충하고 80개에 불과했던 버스 노선을 195개로 확대했다. 버스우선차로제를 시행하면서 2000여 곳인 버스정류장도 4000곳으로 늘렸다. 버스준공영제를 통해 운송사업체 등에 매년 1000억 원가량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실적은 미미하다. 교통수단에서 버스 분담률은 2010년 10.5%에서 2019년 10.5%로 변동이 없었다. 관광객의 버스 이용률은 2016년 18.1%에서 2020년 6.5%로 떨어졌으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등으로 2019년 한 해 6484만5997건에 달하던 수송 실적은 지난해 5313만3883건으로 줄었다.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한 트램 도입 논의는 이번이 세 번째다. 2010년 트램 도입을 처음 추진했다가 초기 투입 비용 대비 수익이 적다고 결론이 났다. 2016년에는 당시 원희룡 제주도지사가 교통혁신계획을 발표하면서 트램 도입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으나 역시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보류됐다.
트램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은 2020년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가 진행한 용역에서 트램이 미래사업에 포함되면서다. 제주도는 지난해 말 제주도 최상위 법정계획인 ‘제3차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2022∼2031년)에 트램 도입을 반영했다. 종합계획에서 제시한 트램 노선은 제주공항에서 원도심과 제주항을 연결하는 단기 노선(6km)과 제주항에서 신제주를 연결하는 장기 노선(12km) 등 모두 18km다. 소요 예산은 3461억 원으로 추산됐다.
오 지사가 염두에 둔 수소전기 트램은 현재 국내에서는 상용화되지 않았다. 울산시가 산업통상자원부의 지원을 받아 실증사업을 벌이고 있다. 수소전기 트램은 배터리 방식에 비해 충전 시간이 짧은 반면 운행 거리가 길다는 장점이 있다. 전기 공급선이나 변전소 없이 충전소 설치만으로 궤도 운행이 가능하고, 도심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효과도 있다.
수소전기 트램이 도입되면 수소연료 생산이 힘든 지역 여건상 수소연료 운송과 안전성에 대한 검증 등 풀어야 하는 숙제가 적지 않다.
제주도 관계자는 “트램 사업으로 원도심 활성화와 탄소절감 효과, 교통약자 배려, 대중교통 편리성 증대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며 “막대한 예산 투입에 비해 수익성이 높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어 도민 중심의 트램 운영을 염두에 두고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