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생식물 활용해 땅속에 탄소 저장, 탄소 흡수 속도 육상 식물의 50배
제주도, 잘피 등 자생지에 조성 땐 年 8만 t 저감-관광자원 효과 기대
13일 오후 2시 반경 제주 제주시 구좌읍 김녕해수욕장 서쪽 600m 해안.
점성이 낮은 용암이 넓게 퍼지듯 흘러가면서 만들어진 평평한 조간대 옆으로 아담한 녹색지대가 펼쳐졌다. 대표적인 해안가 식물 가운데 하나인 순비기나무가 옅은 파란빛 꽃을 피웠고 돌가시나무가 바닥에 달라붙어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갯잔디 옆으로는 무성한 잔털이 특징인 번행초가 보금자리를 잡았다. 이들은 바닷물이 밀려들어도 끄떡없을 정도로 염분에 적응한 염생식물이다. 이처럼 해안에 포진한 염생식물이 흡수하는 이산화탄소가 ‘블루카본(Blue Carbon)’으로 불리며 최근 주목받고 있다.
블루카본은 2009년 유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출간한 보고서에서 처음으로 언급된 용어로 ‘연안 식물 생태계가 저장·격리하는 탄소’를 뜻한다. 해외에서는 연안 나무군락인 맹그로브가 대표적인데, 적도 및 아열대 지역에서 조성 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맹그로브 대신 해초류인 잘피를 비롯해 염생식물, 해조류, 패류 등 연안 식물 생태계를 대상으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2019년 발표한 ‘해양 및 빙권 특별보고서’에선 블루카본을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공식 인정했다. 육상 산림 등의 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인 ‘그린카본’은 수백 년간 탄소를 저장하는 반면 블루카본은 수천 년 동안 토양에 가둬 놓을 수 있다. 특히 블루카본의 탄소 흡수 속도는 그린카본보다 50배나 빨라 기후위기 대응에 효과적이라는 분석이다.
제주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탄소중립을 위한 제주형 블루카본 사업모델 모색’ 연구보고서에서 잘피, 염생식물, 패류, 갈조류 등을 블루카본 사업 대상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제주지역에 자생하는 잘피 35.6ha, 염생식물 429.0ha, 갈조류 9551.2ha 등과 패류 생산량 연간 1985t을 감안해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연간 7만9351.8t으로 추정했다.
이 같은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5월 기준 탄소 배출권 거래 가격(t당 2만6000원)으로 경제성을 평가하면 16억 원가량으로 파악된다. 이는 일반 승용차 3만3000여 대가 1년 동안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를 상쇄하는 수준이고 연간 최대 71만6500여 그루의 나무를 심는 효과가 있다는 분석이다. 이 연구보고서는 △수중의 잘피 △조간대의 염생식물 △해안가의 황근 및 갯대추 등을 하나로 연결하는 ‘제주형 맹그로브 블루카본 숲’을 조성해 탄소 저감은 물론이고 관광자원으로도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제주연구원 신우석 책임연구원은 “정부에서 추진하는 ‘블루카본 기반 해안 조성 사업’과 연계해 시범사업을 유치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며 “제주형 블루카본 사업은 연안환경과 어촌 공동체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생태관광과 자원화를 통해 새로운 사업 발굴과 소득 증대에 기여하는 모델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제주지역에는 잘피 자생지 11곳, 연안습지 및 염생식물 서식지 21곳, 해안사구 14곳 등이 해안을 따라 분포해 있다. 바닷물에 잠겨서 작은 갈대처럼 자라는 잘피는 수거리말, 거머리말 등이 우점종으로 조사됐으며 염생식물은 번행초, 순비기나무, 갯무, 돌가시나무, 갯사상자 등 50여 종이 서식하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