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피시설 아닌 랜드마크로…서울 ‘신규 쓰레기 소각장’ 어디에?

  • 뉴스1
  • 입력 2022년 8월 17일 12시 41분


서울 마포구 마포자원회수시설 쓰레기 크레인조정실에서 폐기물이 소각로로 옮겨지고 있다. 2021.3.15/뉴스1 ⓒ News1
서울 마포구 마포자원회수시설 쓰레기 크레인조정실에서 폐기물이 소각로로 옮겨지고 있다. 2021.3.15/뉴스1 ⓒ News1
2026년부터 매립지에 생활폐기물을 소각하지 않고 직매립하는 것이 금지되는 가운데, 서울시가 현재 운영 중인 양천·노원·강남·마포 4개 ‘광역 자원회수시설(소각장)’에 더해 ‘신규 자원회수시설’을 2026년까지 건립한다고 17일 밝혔다. 최종 후보지는 오는 9월 추석 연휴 전후 발표된다.

자원회수시설은 서울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위생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꼭 필요한 필수 환경 인프라다. 재활용되지 않는 폐기물을 소각 처리하는 시설로, 매립되는 폐기물의 부피와 무게를 크게 줄인다.

현재 4개 광역 자원회수시설에서 하루 약 2222톤의 폐기물을 소각하고 있지만 현재 용량이 부족해 나머지 1000톤은 수도권 매립지에서 소화하고 있다.

코로나19 장기화 등으로 포장용 폐기물 발생이 늘고 있어 2026년 이후 폐기물은 하루 약 3102톤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때문에 나머지 폐기물을 소화할 자원회수시설 건립이 시급한 상황이다.

신규 자원회수시설은 현재 직매립되는 폐기물을 소화할 일일 소각량 1000톤 규모로 조성한다. 이렇게 되면 2026년엔 ‘직매립 제로(0)’가 실현된다.

시는 이를 ‘기피시설’이 아닌 ‘기대시설’로 조성하기 위해 디자인·친환경 등 모든 측면에서 매력적인 랜드마크이자 지역 명소로 만들 계획이다.

실제 덴마크 코펜하겐의 ‘아마게르 바케’는 소각시설 상부에 스키장을 만들고 벽면에는 암벽장을 설치해 관광명소로 각광받고 있으며, ‘2021년 올해의 세계 건축물’로 선정됐다. 대만의 ‘베이터우’ 소각시설은 굴뚝 상부에 전망대와 회전식 레스토랑을 운영, 360도 통유리를 통해 주변을 감상할 수 있다.

도심지 신규 광역 자원회수시설 건립 예시. (서울시 제공) @News1
도심지 신규 광역 자원회수시설 건립 예시. (서울시 제공) @News1
소각시설은 100% 지하화되고 지상부엔 자원회수시설이라고는 상상할 수 없는 건축 디자인의 복합문화타운이 조성된다.

시는 복합문화타운엔 지역에 도움이 되는 시설을 유치하고, 자원회수시설의 특징이자 ‘기피’의 상징이었던 높은 굴뚝을 전망대나 회전레스토랑 등 관광 아이템으로 역활용할 계획이다.

무엇보다 세계 최고의 오염방지설비를 갖춰 대기오염물질·악취·소음을 최소화한다.

오염물질 배출기준을 법적 허용기준 대비 10~50% 수준으로 강화한다.

신규 시설의 다이옥신 배출 기준은 현행 0.1보다 크게 낮은 0.01까지 줄일 방침이다. 우리나라 현행 기준은 물론 유럽(0.1)과 일본(0.3)보다도 엄격한 수준이다.

시는 또한 차량 세척시설을 설치하고 주변 거주지 등과 분리된 작업차량 전용 진출입 도로도 개설한다.

약 1000억원을 투자해 시설에 지역 주민이 원하는 편익시설을 도입하고, 연간 100억원 규모의 ‘주민지원 기금’도 조성해 아파트관리비, 난방비 등 주민복리증진에 사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주민의 건강과 안전을 위해 건립 전에는 ‘환경영향평가’, 운영 과정에서는 ‘사후환경영향조사’, ‘주민건강영향조사’ 등을 실시한다.

시는 지난 20년 동안 매년 실시하고 있는 기존 4개 시설 인근 주민에 대한 건강영향조사 결과에서도 다른 지역과 차이가 없는 만큼 인체에 무해한 시설이며, 소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은 전력생산과 난방에도 활용된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4개 자원회수시설 인근 지역의 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31㎍/㎥으로 서울시 전체평균(38㎍/㎥)보다 오히려 더 낮았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시와 서울시민 전체를 위한 필수 시설이므로 최적 후보지 결정 시 지역주민의 이해와 협조를 당부드린다”며 “세계 최고의 랜드마크 조성, 깨끗하고 안전한 시설, 지역경제 활성화, 주민지원 등을 통해 기피시설이 아닌 기대시설로 전환되는 모범사례로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향후 시설 건립 순항 여부는 시가 ‘기피시설’이란 고정관념을 어떻게 해소하느냐에 달렸다.

이날 대규모 재원을 동원하는 여러 당근책이 나왔지만 각 자치구는 선뜻 나서지 못하고 있다.

자치구마다 폐기물 처리가 최대 현안인 만큼 신규 시설 건립 필요성엔 공감하면서도 주민들의 반발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실제 강동구는 후보지로 거론된다는 소문만으로 ‘광역자원회수시설 대응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하는 등 민감하게 움직였다.

유연식 기후환경본부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두 차례 공모했지만 희망하는 자치구가 없어 입지선정위원회를 통해 선정할 것”이라며 “현재 플랜B는 생각하고 있지 않다. 2027년부터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기존 4개 시설에 대한 현대화와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어떤 혜택을 줄지도 용역 중”이라고 덧붙였다.

최종 후보지를 선정할 ‘입지선정위원회(위원장 배재근 서울과학기술대 교수)’는 주민대표 3명, 전문가 4명, 시의원 2명, 공무원 1명 등 총 10명이다.

후보지는 자치구별 최소 1개소를 포함한 36개 중 현재 5개 내외로 압축한 상황이다. 시는 최종 후보지 선정 후 ‘주민소통협의체’를 구성해 수시로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소통 채널을 확대할 방침이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