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확대가 예고된 가운데 서울시교육청은 참여 여부를 자율에 맡기기로 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26일 “학업성취도 평가와 관련해 자율적으로 참여하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고 밝혔다. 서울시교육청 관내 학교는 표집평가 대상을 제외하고 자율적으로 학업성취도 평가에 참여할 계획이다.
앞서 지난 6월 교육부는 9월부터 컴퓨터 기반 학업성취도 평가를 전면 도입, 희망하는 모든 학교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고 발표했다. 평가대상도 9월부터는 기존 중3, 고2에서 초6까지 확대했다. 2023년에는 초5·6과 중3, 고1·2, 2024년에는 초3부터 고2까지 늘어난다.
이는 2010년대 중반부터 기초학력 미달 학생 비율이 증가하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발 학력저하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 중 하나다. 더 많은 학생을 평가에 참여시켜 더욱 정밀하게 학업성취도를 분석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근본적 대책이 될 수 없고 과거와 같은 ‘일제고사’가 부활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왔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은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일률적 방식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운영한다면 ‘진단을 통한 줄 세우기’가 될 가능성이 높다”며 학업성취도 확대 방안 재검토를 요구하기도 했다.
자율에 맡긴다고 하지만 일각에서는 교육감 성향에 따라 전수평가가 이뤄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왔다. 지난 6월 교육감 선거에서 당선된 보수 성향의 교육감들은 대체적으로 전수평가에 긍정적인 입장이었다. 최근 부산시교육청은 관내 학교에 학업성취도 평가 ‘필수 참여’ 공문을 보내 논란이 일기도 했다.
하지만 서울은 자율에 맡긴다는 방침이다. 조희연 서울시 교육감은 꾸준히 일제고사에 대해 반대 입장을 지켜왔다.
조 교육감은 최근 뉴스1과 인터뷰에서 “평가 목적이 학생의 학력향상을 위한 진단이라고 할 때 단순히 전수평가만으로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며 “미달학생에 대한 학력신장 방안과 전담 교사 배치와 같은 지원 방안이 구체화되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고 밝혔다.
그는 “학부모가 아이의 지적 성장에 대해 다른 아이의 지적 성장과 비교한 위치 정보를 얻도록 할 필요는 있다”면서도 “단지 서열화를 동반하는 표준화 방식이 아닌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