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자유’ ‘남침’ 빠진 한국사 교과 시안 보완”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9월 1일 03시 00분


코멘트

“자유민주주의-남침은 기본상식”
시안 논란에 최종안 수정방침 시사

오승걸 교육부 학교혁신지원실장이 31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최근 공개한 새 교육과정 시안 중 우리 나라 현대사를 다루는 대목에 ‘남침‘과 ‘자유 민주주의‘ 등의 표현이 없는 상황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뉴시스
오승걸 교육부 학교혁신지원실장이 31일 오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최근 공개한 새 교육과정 시안 중 우리 나라 현대사를 다루는 대목에 ‘남침‘과 ‘자유 민주주의‘ 등의 표현이 없는 상황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다. 뉴시스
2025년부터 중고교에 적용될 ‘2022 개정 역사·한국사 교육과정’ 시안에 자유민주주의의 ‘자유’와 6·25전쟁 관련 ‘남침’ 등의 표현이 빠져 논란이 일고 있다. 교육부는 “자유민주주의와 남침은 기본 상식”이라며 최종안은 수정할 방침을 시사했다.

31일 교육부가 공개한 시안은 6·25전쟁과 관련해 남침이라는 표현이 빠지고 ‘6·25전쟁과 남북 분단의 고착화’라고 서술했다. 앞서 2018년 개정 시안에서도 당초 남침이 빠졌다가 논란이 일자 최종안에는 ‘남침으로 시작된’이라는 문구를 넣은 바 있다.

2018년 개정 시안에서는 ‘자유민주주의’ 역시 ‘민주주의’로 바꾸려다 논란이 일자 최종안에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라는 표현으로 일단락된 바 있다. 이번 시안에서도 ‘자유’가 또 빠지고 ‘민주주의의 시련과 발전’이라는 표현이 쓰였다. 이 밖에도 이번 시안은 ‘8·15 광복’을 ‘광복’으로 표기했고, 2018년 개정 때 ‘대한민국 수립’을 ‘대한민국 정부 수립’이라고 바꾼 것은 유지했다.

이번 역사·한국사 교육과정 개정은 문재인 정부 때 꾸려진 연구책임자가 이끌었다. 이를 두고 역사학계 일각에서는 좌편향 역사관이 시안에 반영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시안 공개 뒤 논란이 커지자 교육부는 이날 오후 긴급 브리핑을 열고 “문제가 된 부분은 최종안에서 보완될 것”이라고 밝혔다. 오승걸 학교혁신지원실장은 “자유민주적 기본 질서와 6·25 남침은 헌법정신과 역사적 사실에 부합하는 기본 상식으로 지금도 포함된 사항”이라며 “특히 6·25 남침은 명백한 사실인 만큼 향후 논의 과정에서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부는 13일까지 국민 의견을 수렴한 뒤 올해 말까지 최종안을 확정할 방침이다.


박성민 기자 min@donga.com
#교육부#자유#남침#한국사#교육과정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