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전국 1인가구 비율은 처음 40%를 넘었다. 이 가운데 3분의 1이 20, 30대 청년층이다. 서울시는 이런 흐름을 반영해 ‘청년층’과 ‘1인가구’를 대상으로 지원을 강화하는 정책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청년층과 1인가구에 대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 최대 40만 원 한도 이사비 지원
시는 주거난을 겪는 청년들의 이사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이사비를 지원하고 있다.
5일 시에 따르면 주거 취약계층인 만 19∼39세 청년에게 생애 1회, 최대 40만 원 한도로 이사비를 준다. 신청 대상은 올해 서울로 전입했거나 서울 안에서 이사한 청년(주민등록상 출생 연도 1982∼2003년)가구다.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의 무주택 청년 가구주·임차인으로 임차보증금 5000만 원, 월세 40만 원 이하인 건물에 살아야 지원을 받을 수 있다. 6일 오전 9시부터 26일 오후 6시까지 청년몽땅정보통(youth.seoul.go.kr)을 통해 신청하면 된다. 최종 지원 대상은 11월 발표하고 이사비는 12월에 지급한다.
이사비 지원보다 먼저 시작한 교통비 지원 사업은 지원자를 추가 모집 중이다. 서울에 사는 만 19∼24세 청년을 대상으로 대중교통 이용 요금의 20%(연 최대 10만 원)를 교통 마일리지로 환급해 준다. 서울시는 이 사업에 올해 150억 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김철희 서울시 미래청년기획단장은 “청년들이 겪는 대표적인 문제가 교통비 부담과 주거난인 만큼 우선적으로 필요한 지원을 시작했다”며 “앞으로도 청년 의견을 반영해 다양한 정책을 실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 부동산·병원 동행 등 서비스 확대
청년층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1인가구에 대한 지원도 늘고 있다. 혼자 대부분의 일을 처리해야 하는 1인가구의 특성을 감안해 다양한 방식의 ‘동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식이다.
대표적인 사업이 병원 동행 서비스인데, 지난달부터는 퇴원 후 일상회복을 돕는 서비스로 확대 시행 중이다. 시간당 5000원을 내면 병원 동행은 물론이고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갖고 있는 돌봄 매니저가 퇴원 후 신청자의 집에 방문해 세탁, 청소, 식사 같은 일상생활을 돕는 일상회복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연령이나 소득에 상관없이 최대 60시간까지 이용할 수 있다. 시에 따르면 병원 동행 서비스의 경우 지난해 11월 서비스를 시작한 뒤 이용 건수가 5536건에 달할 정도로 호응을 얻고 있다.
7월부터는 전문가가 동행해 매물 찾기부터 계약까지 돕는 ‘1인가구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 서비스’도 실시 중이다. 부동산 거래에 익숙하지 않은 사회 초년생 등이 전·월세 계약 과정에서 ‘이중계약’이나 ‘깡통전세’ 등의 피해를 입지 않게 돕겠다는 취지다. 현재 자치구 5곳에서 11월까지 시범운영 중인데, 앞으로 서비스 지역을 더 확대할 방침이다. 지금까지 이 서비스 이용 건수는 300건을 넘었다.
시 관계자는 “지난해 발생한 전세보증금 미반환 사고 피해자의 64.7%가 2030 젊은 세대였다”며 “사회 초년생이나 어르신 1인가구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동행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