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이 29% 수준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이란, 구급대원이나 의료인이 아닌 일반인에 의해 발견된 환자 중 병원에 도착하기 전 일반인에 의해 심폐소생술이 시행된 환자의 비율이다. 다만 아직 해외 선진국에 비해선 낮은 수준이라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질병관리청과 소방청에 따르면 지난해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28.8%로 조사됐다. 이 비율은 2008년 1.9%에 불과했지만 2014년 12.9%, 2017년 21% 등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일반인이라도 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 생존율은 11.6%로, 시행하지 않았을 때의 생존율(5.3%)보다 2배 이상 높다.
다만 국내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미국과 영국 등 해외 선진국에 비하면 낮은 편이다.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이 질병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미국의 일반인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40.2%, 영국은 70.0%에 달했다. 남 의원은 “응급처치 수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및 홍보를 강화하고 자동심장충격기(AED) 보급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질병청에 따르면 지난해 119구급대가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총 3만3235명이었다. 국내 급성심장정지 발생률은 인구 10만명당 64.7명으로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2006년 39.8명에서 2015년 60.4명까지 늘었다가 2017년 57.1명으로 감소했지만, 다시 증가하고 있다. 발생률을 지역별로 보면 제주가 101.8명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강원(95.8명), 전남(90.0명) 등 순이었다. 세종이 44.4명으로 가장 낮았다.
지난해 급성심장정지 환자 중 병원 치료 이후 생존 상태로 퇴원한 환자의 비율, 즉 생존률은 7.3%로 전년(7.5%)과 비슷했다. 생존률을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40대가 14.1%로 가장 높았고 50대 14.0%, 60대 10.3% 등 순이었다.
조규종 대한심폐소생협회 기본소생술 위원장은 “심장정지 환자를 인지해 신고하고 구급대원을 기다리는 동안에도 환자의 골든타임은 흘러간다“며 “최대한 심장이 멎은 시간을 줄이기 위해 내 손으로 환자의 가슴을 지속해서 압박해 그 사람의 심장 역할을 대신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헌주 질병청 차장은 “고령인구가 증가하고 있어 앞으로 급성심정지 환자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심폐소생술 교육 품질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