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사회
“부모 부양은 사회·국가가” 62%…‘가족책임’은 첫 10%대
뉴스1
업데이트
2022-11-17 00:29
2022년 11월 17일 00시 29분
입력
2022-11-16 13:30
2022년 11월 16일 13시 30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시골마을 어르신들이 동네 정자에 모여 정담을 나누고 있는 모습. ⓒ News1
국민들이 느끼는 가족관계 만족도가 다소 높아졌지만 여전히 60%대의 낮은 수치를 보이고, 부모 부양은 사회나 국가 책임도 크다는 인식이 늘면서 가족이 전적으로 부담해야 한다는 인식은 처음으로 10%대로 내려앉았다.
비혼 동거나 비혼 출산에 대한 선호도는 점점 높아지고, 결혼에 대한 생각은 국민들 절반이 불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결혼을 꺼리게 되는 이유로는 결혼자금 부족과 고용 불안정이 가장 컸다.
◇가족관계 만족도 64.5%…부모부양은 가족·정부·사회 책임 62%
16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사회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 국민들은 전반적으로 가족 관계에 만족한다는 응답이 64.5%로 직전 조사 시점인 2020년보다 5.7%p 증가했다.
가족 관계 만족도는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가 78.6%로 가장 높았다. 배우자와의 관계(72.1%), 자기 부모와의 관계(71.1%), 배우자 부모와의 관계(60.8%) 만족도도 2년 전보다 증가했다.
가족관계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2년 전보다 높아졌지만 여전히 60%대에 머물고 있다. 부모가 생각하는 자녀와의 관계와 자녀가 생각하는 부모와의 관계 만족도가 차이나는 점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부모의 노후는 가족·정부·사회가 함께 돌봐야 한다는 견해가 62.1%였다. 직전 조사 시점인 2020년보다 0.5%포인트(p) 증가했다.
가족이 돌봐야 한다는 응답은 19.7%로 2년 전보다 2.3%p 줄어 첫 10%대에 진입했다. 부모님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응답도 12.6%로 2년 전 대비 0.3%p 감소했다.
가사를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64.7%로, 2년 전보다 2.2%p 늘었지만 현실은 20.5%만이 실제 가사를 분담 중이라고 응답했다.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50.0%로 2년 전보다 1.2%p 줄었다. 결혼하지 않더라고 같이 살 수 있다고 답한 사람은 65.2%,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는 사람은 34.7%였다.
결혼하면 자녀를 가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65.3%로 2년 전보다 2.7%p 줄었다. 외국인과 결혼해도 상관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75.6%로 2년 전보다 4.6%p 증가했다.
ⓒ News1
◇청소년 ‘학교생활 만족’ 51%뿐…우울감에 ‘자살 생각’ 5.7%
청소년이 가장 고민하는 문제는 공부(31.7%), 직업(26.7%), 외모(10.6%) 순이었다. 고민 상담 대상은 친구가 43.7%로 가장 많고, 다음은 부모(29.7%), 스스로 해결(18.1%), 형제자매(4.8%)였다.
학교생활 만족도는 51.1%로 2년 전보다 8.2%p나 줄었다.
공부하는 이유는 미래의 나를 위해 필요해서(79.7%)가 가장 높고, 못하면 부끄러워서(32.5%), 재미있어서(19.0%), 하지 않으면 혼나거나 벌을 받아서(14.4%)가 뒤를 이었다.
스스로를 가치 있는 사람이라 생각하는 비중은 76.8%로 2년 전보다 1.0%p 증가했지만, 자신에게 만족하는 비중은 65.6%로 2년 전보다 0.9%p 감소했다.
본인이 원하는 단계까지 학교 교육을 받았다는 사람의 비중은 60.9%로 2년 전보다 4.8%p 증가했고, 본인의 전공과 직업이 일치한다고 응답한 경우는 2년 전보다 0.4%p 감소한 36.8%였다.
올해 1학기를 기준으로 대학생의 61.2%가 부모님(가족)의 도움으로 등록금을 마련했으며, 장학금(23.5%), 스스로 벌어서 마련(8.0%), 대출(7.3%) 순으로 나타났다.
자녀 교육비가 가정 경제에 부담된다고 응답한 가구의 비중은 57.7%였다. 2년 전보다 6.4%p 감소했다.
우리나라 학부모의 56.5%는 여건이 허락된다면 자녀를 다른 나라로 유학 보내기를 원하며, 이는 2년 전보다 2.2%p 감소한 수치다.
전반적으로 자신의 건강 상태가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 비중은 53.1%로 2년 전보다 2.7%p 늘었지만, 스트레스 느낌은 다소 줄었다.
전반적인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는 44.9%로 2년 전보다 5.6%p 줄었다. 가정과 직장에서 받는 스트레스도 각각 6.1%p, 5.9%p 감소한 34.9%, 62.1%였다.
하지만 청소년들의 학교 생활 만족도가 떨어지면서 학교생활 스트레스는 0.4%p 증가한 35.6%였다.
지난 1년간 한 번이라도 자살하고 싶다고 생각해본 적 있는 사람은 5.7%로 2년 전보다 0.5%p 늘었다.
자살 충동 이유는 질환·우울감·장애(35.4%)가 가장 많았다. 경제적 어려움(27.6%), 직장문제(11.1%), 가정불화(8.9%), 외로움·고독(8.0%) 등이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는 10~30대 및 60세 이상은 질환·우울감·장애, 40·50대는 경제적 어려움을 가장 많이 꼽았다.
ⓒ News1
◇‘사회안전’ 인식 여전히 30%대…불안요인 ‘안보·도덕성’ 껑충
우리 사회가 ‘안전하다’고 느끼는 사람은 33.3%로 2년 전보다 1.5%p 증가했지만 여전히 전체의 30%대를 벗어나지 못했다.
안전이 ‘보통’ 수준이라고 느끼는 사람은 45.0%로 2020년(44.4%) 대비 큰 변화가 없었다. ‘안전하지 않음’으로 응답한 사람은 21.7%를 기록해 2020년(23.9%) 대비 소폭 줄었다.
사회의 가장 큰 불안 요인으로는 신종 질병이 21.0%로 가장 높고 그 다음 국가 안보(14.5%), 범죄 발생(13.9%), 경제적 위험(13.3%), 도덕성 부족(9.6%) 순이다.
신종 질병의 경우 2020년 32.8%에서 올해 21.0%로 크게 줄었다. 반면 다른 요인들은 2년 전보다 증가했다. 대표적으로 국가안보(11.3%→14.5%), 도덕성 부족(7.4%→9.6%) 등이다.
밤에 혼자 걸을 때 불안하다고 느끼는 사람은 13세 이상 인구 3명 중 1명 꼴인 29.6%이다. 여자(44.0%)가 남자(15.1%)보다 야간 보행 시 불안감을 훨씬 더 느꼈다.
야간 보행이 불안한 이유는 ‘신문·뉴스 등에서 사건·사고 접함’(41.4%)이 가장 많았다. 이어 ‘인적이 드묾’(27.4%), ‘가로등·CCTV 등 안전시설 부족’(19.5%) 순이다.
현재 살고 있는 지역의 생활환경이 전반적으로 좋다고 체감하는 사람의 비중은 49.7%로 2년 전보다 4.0%p 증가했다.
다만 환경 문제 중 미세먼지(64.6%)에 대한 불안감이 국민 다섯 중 세 명꼴로 느끼고 있고, 이어 기후변화(45.9%), 방사능(43.4%), 유해 화학물질(42.5%)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전국 약 1만9000 표본 가구 내 상주하는 만 13세 이상 인구 약 3만6000명을 대상으로 올해 5월 11일부터 26일까지 16일동안 실시한 결과다.
사회조사는 매년 이뤄지며, 짝수 해에는 가족·교육과 훈련·건강·범죄와 안전·생활환경 분야를, 홀수 해에는 복지·사회참여·문화와 여가·소득과 소비·노동 분야를 조사한다.
(세종=뉴스1)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한미 외교장관 통화…“조속한 대면 협의 일정 조율”
美, 삼성 반도체투자에 보조금 6.9조원 확정…당초 계약 금액보다 26% 축소
전국 법원 2주간 휴정기…이재명 재판도 일시중단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0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