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서 ‘지역인재 육성 토론회’ 개최
“한계대학의 퇴로 방안 마련해야”
“지역 특화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전문가들 참여해 다양한 의견 제시
“지역 거점국립대의 학생 1인당 순교육비는 서울 중위권 사립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투입되는 재원이 적으면 교육의 질 저하가 발생하고, 이는 학생들이 지역대학 입학을 꺼리는 이유로 작용한다.”
14일 오후 부산 롯데호텔 3층 펄룸에서 열린 ‘2022 대학 및 지역인재 육성을 위한 대토론회’에서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의 채창균 선임연구원은 “지역대학의 경쟁력 있는 학과를 집중 지원해 키워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부산인재평생교육진흥원이 주최한 이날 토론회는 지역대학의 생존 전략을 찾기 위해 마련됐다. 토론회에 참가한 전문가들은 신입생 충원에 어려움을 겪는 지역대학의 위기 돌파 전략에 관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이날 참가자 대부분은 학생 수는 급감하는데 전국 대학 수와 모집정원은 크게 줄지 않은 문제점을 지적했다. 수도권 대학부터 학생들이 채워지고 나면 지역대학은 입학 자원을 모집하기 어려운 상황이 반복된다는 것이다.
부산시의 장래인구 추계에 따르면 2020년 약 46만 명이던 부산의 학령인구(6∼21세)는 2030년 34만 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됐다. 지역대학은 4차 산업혁명 전환기를 맞아 낡은 교육시스템 등을 서둘러 바꾸지 않으면 더욱 외면을 받을 것이라는 위기감도 제시됐다. 동아대 한성호 교수는 “지역대학 구성원 모두가 분주하게 일하는 것은 상황이 좋아서가 아니다. 생존 방법을 찾으려 발버둥치는 것이다”며 “한계대학의 퇴로 구축방안 마련이 가장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부산대 김석수 대외협력부총장은 ‘디지털 대전환시대 지역대학 지속 가능성’이란 발제를 통해 “재정 상황이 열악한 ‘한계대학’에 인센티브를 제공해 퇴로를 마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부총장은 “타 대학과 통합하거나 폐교하는 등 스스로 물러나려는 사학재단에 정부가 어느 정도의 재정적 보전을 해줄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며 “대학이 사라졌을 때 지역사회에 끼치는 충격을 어떻게 해소할지에 관한 고민도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역 특화형 외국인 유학생 유치 확대’ 전략도 제안했다. 김 부총장은 “지역대학에 입학하는 외국인 유학생에게 영주권을 주는 정책 등을 정부 차원에서 검토해볼 만하다. ‘외국계 한국인’을 늘리는 게 입학자원 감소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외에도 김 부총장은 △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의무제 개선(현행 이전지역 소재 학교 출신 30% 채용→이전 지역 외 비수도권 출신 20% 추가) △글로벌 한국대학 육성(세계 100위 안에 들어가는 대학을 지역에 10개 만들기) 등을 경쟁력 강화 전략으로 소개했다.
이날 토론회에선 지역대학의 자구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많았다. 채 연구원은 “지역 국립대의 경우 수도권 사립대에 비해 학과 수가 압도적으로 많다. 비슷한 학과의 수가 많으면 연구 장비의 공동 활용이 어려워지는 등 재정 낭비의 소지가 크다”며 학과 통폐합 등을 주문했다.
경성대 최승준 교수는 “지역대학에는 열정 넘치는 교수와 학생, 다양한 연구시설 등이 갖춰졌다. 이런 인프라를 잘 활용해 지역의 당면 문제를 해결하는 사례가 많이 만들어지면 대학의 가치가 높아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회를 찾은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서병수 국민의힘 의원은 “지역에서 대학은 아주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며 “오늘 나온 의견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