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소는 전통적으로 ‘사는 곳’을 의미했다. 그런데 최근에는 ‘공간’, ‘이동 경로’, ‘디지털’ 개념이 더해지며 ‘위치 식별자’로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건물이 아닌 공터나 건물 내부, 사물에까지 주소가 부여되면서 주소체계가 보다 정교하고 세밀해지는 것이다.
주소정보는 현재 기업 및 기관 7만여 곳과 연계되고 있다. 지도 애플리케이션(앱)을 이용해 길을 찾을 때, 온라인 배송이나 택배 서비스를 이용할 때 주소정보 활용은 필수불가결하다. 이제 주소정보는 국민 생활을 뒷받침하는 핵심 데이터가 됐다.
행정안전부는 올 6월 고밀도 입체도시에 어울리도록 주소체계를 고도화하고, 신기술과 연계해 주소정보 산업을 육성하는 방안 등을 담은 ‘제1차 주소정보 활용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기본계획의 비전은 ‘주소로 안전한 나라, 주소로 편리한 나라, 주소가 자원인 나라’다. 목표는 2026년까지 국가 주소정보 인프라를 대폭 확충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소정보 산업을 육성해 주소 지능 정보의 ‘DNA(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생태계를 완성하는 것이다.
기본계획에 따라 정부는 △주소 기반 드론 배송 △자율주행 로봇 배송 △실내 내비게이션 △자율주행차 주차 △사물인터넷에 필요한 주소정보 구축 및 제공 등을 시도하면서 주소정보 산업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주소 기반 드론 배송은 산악 및 도서 지역 등 인프라가 미흡한 지역에 드론배달점을 설치해 ‘배송 접점’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올 10월 경기 가평군에서 편의점 물품을 드론으로 배송하는 서비스가 이뤄졌다. 자율주행 로봇 배송 상용화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서울 세종 부산 울산 등 4개 지역에서 자율주행 로봇 운영에 필요한 이동 경로를 주소정보로 구축해 배송, 순찰, 청소 등의 서비스를 시범 제공하고 있다.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을 사용할 수 없는 대규모 건물 내에서 위치를 찾는 ‘주소 기반 실내 내비게이션’ 사업은 대전 신세계백화점에서 시연됐다. 주차장에 부여한 사물주소를 활용해 자율주행차가 스스로 주차하는 ‘자율주행차 발레주차’ 실증 실험도 최근 진행됐다.
미래사회에선 지금까지 언급한 것보다 더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혁신 서비스들이 일반화될 것이다. 이제 주소는 사람과 사람뿐 아니라 사람과 기계, 사람과 인공지능(AI) 간 소통을 돕는 역할을 해야 한다.
주소가 그려낼 미래의 모습은 그래서 궁금하고 흥미롭다. ‘주소로 안전한 나라, 주소로 편리한 나라, 주소가 자원인 나라’라는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한 정부와 민간, 산업계, 학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력, 지지를 당부하고 싶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