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동안 담배를 피운 A 씨(38)는 그동안 수차례 금연을 시도했지만 3일을 넘기지 못했다. 그러던 중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으로 회식과 모임이 부쩍 줄고 예전보다 가족들과 함께 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이참에 꼭 금연을 해야겠다’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이런 A 씨의 눈에 띈 건 담뱃갑에 적힌 정부의 ‘금연상담전화 1544-9030’. A 씨는 전화로 상담을 받으면서 금연을 어떻게 시작해야 하는지, 흡연 욕구가 생길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알 수 있었다. 지금은 어느덧 금연 6개월 차다. A 씨는 “점점 더 담배 없는 세상에 익숙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흡연자들의 성공적인 금연을 위해 다양한 ‘국가금연지원서비스’를 펼치고 있다. A 씨가 이용한 금연상담전화도 그 중 하나다. 정부는 특히 코로나19 유행 이후 비대면 금연지원서비스를 확대해 운영하고 있다.
대표적인 비대면 금연지원서비스 중 하나가 ‘금연길라잡이’ 홈페이지다. 직장인 B 씨(43)도 금연길라잡이에 가입해 금연에 성공했다. 특히 이 홈페이지에 마련된 공감마당 게시판‘에서 수많은 ’금연 동지‘들과 각자의 금연 노하우와 경험을 나눈 것이 큰 도움이 됐다. B 씨처럼 금연길라잡이에 가입해 도움을 받은 이들은 지난달 30일 기준 32만 명에 달한다. 2019년 세계보건기구(WHO)가 펴낸 보고서에 따르면 자신의 의지만으로는 금연 성공률이 4%에 그치지만 타인의 정보제공과 상담, 금연 치료제를 병행하면 성공률이 3.3~6.3배 증가한다.
정부는 미래 세대를 위한 ’유아 흡연위해예방교육‘도 펼치고 있다. 전문가들이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직접 찾아가 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담배와 간접흡연의 위험성 등을 교육하는 것이다. 올해 어린이 총 14만6760명이 교육을 받았다. 국가금연지원센터 관계자는 “국내 청소년 흡연율이 계속 증가하고 있고 ’향기 나는 담배‘ 등 신종담배가 청소년들을 유혹하고 있다”며 “청소년들의 흡연을 막기 위해서 어릴 때부터 흡연의 위험성을 알리는 교육이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금연구역 내에서 흡연을 하다가 적발돼 과태료 부과 대상이 된 이들이 금연지원서비스를 이수하면 과태료를 100% 감면해주고 있다. 여기에 해당하는 금연지원서비스는 △금연상담전화 △보건소 금연클리닉 △금연캠프 △병의원 금연치료다. 적발된 뒤 보건소에 ’교육 및 금연지원서비스 신청서‘를 제출하면 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