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수달 가족, 한강에 산다…15마리 흔적 발견

  • 뉴시스
  • 입력 2022년 12월 27일 11시 19분



한강 일대에서 1974년 이후 서식 개체수가 공식 확인되지 않던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이자 천연기념물 330호 수달 15마리의 흔적이 발견됐다.

2016년 탄천 하류에서 수달 발견 이후 이듬해 4개체가 목격됐고, 현재 그 수가 확연히 늘어난 것이 입증된 것이다.

서울시는 최근 한강 본류는 물론 탄천, 중랑천, 여의도 샛강 일대에서 수달 서식 흔적을 찾아 수달 분변에 대한 유전자(DNA) 추출 실험을 진행한 결과 서울 한강 일대에 총 15개체의 수달이 서식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27일 밝혔다.

수달은 식육목 족제비과에 속하는 포유동물로 강과 저수지 등 물을 끼고 살아간다.

1974년 팔당댐 완공과 함께 수달의 이동경로가 단절된 이후 서울 한강 유역 내 수달이 서식한다는 공식 조사기록은 없었다.

그러나 2016년 서울 탄천 하류에서 한 시민이 헤엄치는 수달을 촬영해 제보했고, 2017년에는 무인카메라 조사로 수달 4마리의 서식이 밝혀졌다.

이에 시는 서울 지역의 수달 서식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수달보호협회(대표 한성용)와 함께 작년부터 지난 11월까지 ‘한강 수달 서식현황 및 적정 관리방안’ 학술용역을 실시했다. 시와 연구팀은 수달 출현흔적 조사(배설물, 발자국 등), 분변 채집조사, 무인카메라 수달 촬영 등을 통해 팔당댐 하부~난지한강공원 구간 곳곳에서 수달의 출현 흔적을 확인했다.

서울시는 서울 한강변의 우수한 생태습지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하면서 건강한 생물서식지를 확보한 것과 강변의 콘크리트 인공호안을 자연소재(흙, 자갈, 바위 등)로 대체하는 등의 장기적 자연형 호안 조성 사업을 시행한 것이 수달과 같은 지표종의 생존 가능으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또한 최근 수달, 황조롱이, 원양 등 천연기념물과 삵, 새호리기, 노랑부리저어새, 큰고니, 맹꽁이 등 멸종위기종의 지속적 발견을 두고 한강 자연성 회복에 중심을 둔 시의 자연생태 정책이 점차 결실을 맺는 것이라고 자평했다

서울시와 수달 전문가에 따르면 서울 한강의 수달 복원을 위해서는 외부의 수달 개체의 재도입보단 기존 한강변 식생대 보호, 위협요인 제거, 수달 서식환경 복원과 같은 서식지 환경 복원 전략 등 보호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수달을 발견하면 돌을 던지거나, 고함을 지르거나, 다가서는 행위는 피해야 한다. 물가를 배회하는 개는 한강변 바위틈새에서 쉬고 있는 수달을 공격할 우려가 매우 커 산책시 반드시 목줄을 채워야 하고, 물 속의 통발, 정치망은 수달의 익사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불법 어로행위를 하면 안 된다.

유영봉 서울시 푸른도시여가국장은 “한강 본류와 일부 지류하천에도 수달의 출현이 잇따라 발견되는 것은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추구하는 서울시 자연생태 관리의 산물”이라며 “앞으로도 사람, 생물, 자연이 서로 조화롭게 공존하는 건강한 한강생태축을 만들어가도록 다양한 자연정책을 발굴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