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과 놀자!/주니어를 위한 사설 따라잡기]코로나19로 닫았던 문, 3년 만에 다시 연 중국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1월 13일 03시 00분


코멘트
일러스트레이션 임성훈
일러스트레이션 임성훈
중국이 8일부터 해외 입국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와 격리 의무 조치를 해제했다. 이로써 중국인들의 일상을 마비시켰던 ‘제로 코로나’의 고강도 방역 규제가 모두 폐지됐다. 3년간 닫혀 있던 국경이 열리자 중국인들이 ㉠‘보복 여행’에 나서면서 해외 항공권과 호텔 예약 건수가 폭증하고 있다. 세계 각국은 코로나19로 침체됐던 관광 산업이 살아날까 기대를 하면서도 당장 중국발 입국자를 제한하는 등 방역의 고삐는 풀지 않고 있다.

코로나19 확산세가 심상치 않은 중국은 설 명절인 춘제를 전후해 유행의 정점에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 다음 달 15일까지 40일 동안의 춘제 특별 수송 기간이 코로나19 통제의 성패를 가를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정부는 3년간 코로나19로 발이 묶였던 사람들이 춘제를 맞아 일제히 고향을 찾으면서 연인원 20억 명이 이동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홍콩에서는 하루 만에 34만 명이 중국 입경을 예약했다고 한다. 20억 대이동에 따라 대도시에서 중소도시와 농촌으로 코로나19도 급속히 확산될 수밖에 없다.

국내 방역 당국으로서도 이 기간 중국발 바이러스 유입을 막아내는 것이 코로나19 방역의 마지막 고비가 될 것이다. 정부는 5일부터 중국발 입국자들에 대해 코로나19 음성 확인서 제출을 의무화했다. 2∼7일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한 중국발 입국자 6396명, 그중 코로나19 검사를 받은 5614명 중 19.6%(1100명)가 양성이었다. 해외 유입 확진자 10명 중 8명이 중국에서 들어온 입국자들이다. 중국의 코로나19 검사 정확도가 떨어지거나, 현지 검사 당시엔 잠복기여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 공항 검역에서 철저히 가려내 방역 부담을 줄여야 한다. 아울러 중국 입국자 검사 과정에서 확보한 검체를 분석해 변이 출현 동향도 꼼꼼히 추적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마지막 남은 코로나 규제인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를 검토 중이다. 정부가 제시한 기준에 따르면 국내 코로나19 상황은 마스크를 벗어도 될 정도로 개선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 기준은 중국의 재개방 변수를 감안하지 않은 상태에서 만든 것이다. 중국의 코로나19 유행이 잦아들 때까지는 마스크 의무 폐지에 신중해야 한다.

동아일보 1월 9일 자 사설 정리

사설을 읽고 다음 문제를 풀어 보세요.
1. 윗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고르세요.

① 세계 여러 나라가 중국의 고강도 방역 규제 해제를 반기는 것만은 아니야.

② 중국 내 코로나 확산은 우리나라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아.

③ 우리나라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는 아직 해제되지 않았어.

2. 윗글의 ㉠‘보복 여행’의 뜻으로 적절한 것은?

① 그동안 여행을 떠날 수 없어서 억눌렸던 욕구가 폭발하며 여행을 가는 것

② 남에게 해를 끼치려는 목적으로 여행을 가는 것

③ 중국 청나라의 격식 있는 옷을 입고 여행을 가는 것

김재성 동아이지에듀 기자 kimjs6@donga.com
#코로나19#중국#중국발 입국자#춘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