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파른 물가 상승 탓에 최근 온라인상에서 결혼식 축의금 적정선을 놓고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는 축의금 적정선에 대해 “식대를 기준으로 삼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16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축의금은 예로부터 지인의 기념일을 축하해 주는 동시에 상호 부조하는 일종의 품앗이 역할을 했다”며 “그런데 물가가 오르며 돈 내는 사람이나 받는 사람 모두 부담이 됐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축의금 적정선에 대해 “1년 전에 결혼정보회사 듀오가 2030대 미혼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53.3%는 10만원 미만, 45.3%는 10만원에서 20만원 사이로 평균 7만8900원 정도였다”고 소개했다.
최근 평균 식대에 대해서는 “뷔페 같은 경우 한 평균 7만 원 정도 된다고 한다”며 “호텔이나 이런 데는 코스로 나오는데 한 14만 원이 넘는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축의금 적정선에 대해 식대를 확인한 뒤 축의금과 참석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그는 “밥값을 생각해서 10만원 내기는 부담스럽다면 5만원만 내고 결혼식에 불참하는 경우도 있다”며 “그런데 노쇼도 기분 나빠하면 어떡할까 축하객 입장에서는 걱정도 많이 된다”고 했다.
이어 “현실적으로 결혼식 비용이라든가 물가가 많이 올라서 부담을 많이 느끼기 때문에 참석을 결정할 때 식대가 얼마쯤 될까 고민해서 적어도 식대보다는 좀 더 많이 축의금을 낼 수 있다면 (참석하고 아니라면 축의금만 내는 것이 좋을 것 같다)”며 “그렇게 조절하는 게 어떨까”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축의금 문화에 대해 “어느 순간부터는 좀 끊어주고, 새로운 결혼 문화를 정립하는 그런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사실 결혼식이 끝나고 신랑 신부가 싸울 때가 많다. 결혼식이든, 새로운 가정 형성 등 너무나 돈이 많이 드는 일”이라며 “신랑, 신부와 양쪽 혼주가 돈 때문에 갈등을 하는 일도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허례에 해당되는 그런 비용은 실용주의적 관점에서 과감하게 커트할 필요가 있다는 생각을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