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가 대학을 졸업한 후에도 취업이나 결혼까지는 부모가 경제적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난해보다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한국교육개발원(KEDI)의 ‘2022 교육여론조사’에 따르면, 부모가 자녀를 경제적으로 지원해야 하는 시기로 전국 성인 남녀 4000명 중 52.1%(2084명)가 ‘대학교 졸업까지’를 꼽았다.
KEDI는 2년 전에도 4000명을 대상으로 이 질문을 했는데, 그때(2251명·56.3%)보다 응답률이 4.2% 포인트(p) 감소했다.
반면 자녀가 ‘취업할 때까지’ 지원해야 한다는 비율은 재작년 13.1%(524명)에서 지난해 17.2%(688명)로 4.1%p 늘었다.
‘결혼할 때까지’ 지원해야 한다는 비율도 재작년 4.7%(188명)에서 지난해 6.9%(274명)로 2.2%p 증가했다.
응답자 4000명 중 자녀가 있는 2372명의 응답률도 비슷했다. ‘대졸까지’ 52.8%(1252명), ‘취업까지’ 17.7%(420명), ‘결혼까지’ 8.2%(195명)로 나타났다. 4명 중 1명(25.9%)은 자녀의 취업·결혼까지 경제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셈이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과 교수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취업을 못하는 청년들이 증가하면서 자녀 지원에 대한 부모들의 부담이 늘어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밝혔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청년 취업자 수는 지난해 7월 407만7000명에서 5개월 연속 줄어 지난해 12월엔 389만2000명까지 떨어졌다. 지난해 12월 청년 실업률은 5.2%로, 15~29세 청년 20명 중 1명 이상이 실업자인 것으로 조사됐다.
부모가 자녀의 대학 졸업을 넘어 취업·결혼까지 경제적으로 지원하는 현상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서이종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는 “결국 부모의 노후 자금을 자녀가 취업·결혼할 때까지 써야한다는 건데, 그만큼 자녀들이 부모를 부양할 수 있냐고 묻냐면 그건 또 아닌 상황”이라며 “정부의 역할인 취업·결혼 지원이 부모의 역할로 전가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서 교수는 “가족주의라는 함정에 빠져 부모들의 노후 대비가 불가능한 상황으로 가고 있다”며 “정부가 노년층보다는 청년층이 자립할 수 있는 정책에 힘을 더 실어서 자녀들이 아닌 스스로의 힘으로 노후를 대비할 수 있게끔 만드는 게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