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2025년부터 수학-영어 등
수준별 학습 ‘보조교사’ 역할 기대
기기 보급-교사 연수 시간 촉박 우려
“학습격차 확대”“디지털 과몰입” 지적
2025년부터 초등학교 3, 4학년과 중1·고1 학생들은 수학·영어·정보 시간에 인공지능(AI) 기반의 디지털 교과서로 수업을 하게 된다. 종이 교과서 대신 AI, 확장현실(XR) 기술 등이 접목된 태블릿 형태의 교과서로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다. 각 학생의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학습으로 수업의 질을 높이려는 취지다.
하지만 2년 안에 AI 디지털 교과서를 보급하기에는 기기 보급과 교사 연수 등에 시간이 촉박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에 교육부는 “현장 혼란을 줄이기 위해 3년간은 디지털 교과서와 종이 교과서를 병행한다”고 말했다.
● 2025년부터 AI 교과서로 수학, 영어 수업
교육부는 2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2025년에는 초등 3·4학년, 중학교 1학년, 고교 공통·일반선택 과목에 AI 디지털 교과서가 도입된다. 이듬해 초등 5·6학년과 중학교 2학년, 2027년에는 중학교 3학년까지 확대된다. 교육부는 현장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2027년까지는 종이 교과서를 함께 사용하고, 2028년부터 디지털 교과서로 전면 대체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교육부는 디지털 교과서가 일종의 ‘보조교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다. 예를 들어 수학 과목에선 학생들이 연습 문제를 푼 결과에 따라 AI 교과서가 난이도를 달리한 문제를 추가로 제시하는 식이다. 학생이 취약한 부분을 찾아 개념을 보충 설명하고, 이런 데이터는 교사에게도 전송된다.
교사는 이를 바탕으로 학생 수준별 맞춤 학습을 진행하고, 부족한 부분을 집중적으로 가르칠 수 있다. 영어 과목에선 AI 음성인식 기능을 가진 교과서를 통해 말하기와 듣기 연습도 가능해진다. 정보 교과에선 직접 코딩을 해볼 수 있다.
교육부는 세 과목 외에도 디지털 교과서를 도입할 과목을 확정해 5월경 발표할 예정이다. 또 하반기부터 전국 300곳의 디지털 선도학교를 지정해 AI 기반 맞춤형 수업을 시범 운영한다.
● 교사 연수 시급, 학습 격차 우려도
일선 학교에선 디지털 교과서 도입 준비가 부족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우선 디지털 교과서로 가르칠 교사 연수가 시급하다. 이날 교육부가 밝힌 시행 계획에서 2024년까지 연수를 받게 될 교사는 해당 과목 교사의 40%에 불과하다.
디지털 교과서가 본격적으로 도입되는 2025년에도 연수를 마친 교사는 70%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경기도의 한 초등학교 교사는 “정부는 기본 지식 전달은 AI 교과서에 맡기고, 맞춤형 수업을 진행하라고 한다”며 “하지만 한 학급에 30명 가까운 학생을 대상으로 어떻게 수업을 진행할지 막막하다”고 말했다.
이날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정부가 주력해야 하는 부분은 뒤처진 아이들을 집중적으로 보살피는 것”이라며 “디지털 교과서도 그런(뒤처진 아이들) 쪽에 우선순위를 두고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되레 디지털 교과서가 ‘학습 격차’를 키울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최근 대화형 AI인 챗GPT 열풍에서 보듯 디지털 교과서가 고도화되면 이를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상위권 학생들은 학습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반면 학습 의지가 부족한 학생들은 주도적으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갈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다.
“아이들의 디지털 기기 과몰입을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하는 학부모들도 있다. 박남기 광주교대 교육학과 교수는 “똑똑한 기기만 쥐여 준다고 교육의 질이 높아지는 것이 아니다. 학생이 공부에 흥미를 느끼게끔 도와주는 교사의 역할이 더 중요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 교과서가 수집한 학습 데이터의 관리 방안도 풀어야 할 숙제다. 해당 데이터가 교과서를 개발한 민간 기업이 활용하는 것을 어디까지 허용할지를 두고 논란이 생길 수 있다. 최근 경기도교육청 주관 학력평가 성적이 유출된 것처럼 보안 우려도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