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래: 맹자에서 유래한 성어입니다. 맹자가 위나라 양혜왕을 만났을 때 왕이 말하길 “과인은 나랏일에 온 마음을 다하고 있습니다. 하내(河內)에 흉년이 들면 그 백성들을 하동(河東)으로 이주시키고 식량을 하내로 옮기며, 하동에 흉년이 들면 역시 그렇게 하여 굶어 죽는 사람이 없게 하였습니다. 이웃 나라의 정사를 살펴보면 과인만큼 마음을 쓰는 왕이 없는데, 이웃 나라의 백성이 더 줄지 않으며 과인의 백성이 더 늘지 않는 것은 무엇 때문입니까?” 맹자가 대답하기를, “왕께서 전쟁을 좋아하시니 전쟁으로 비유를 들어 말하겠습니다. 지금 둥둥 북이 울리고 병기가 부딪치고 있는데, 갑옷을 버리고 병기를 끌고 도망을 가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어떤 사람은 백 보를 달아나 멈추고 어떤 사람은 오십 보를 달아나 멈추었습니다. 오십 보 달아난 사람이 백 보 달아난 사람을 비웃는다면 어떻겠습니까?” 왕이 말하길, “옳지 않습니다. 백 보가 아닐 뿐이지 달아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맹자가 말하길, “왕께서 만일 이를 아신다면 백성이 이웃 나라보다 많기를 바라지 마십시오”.
● 생각거리: 맹자는 무엇보다 의식주가 보장되어야 예의를 지킬 수 있는 도덕심도 생길 수 있다고 강조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이 오십보백보의 비유를 들어 위정자는 임시방편이 아닌 진심으로 백성을 사랑하는 정치를 해야 함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