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펠노예’ 버텨도…111명중 뇌출혈응급수술 10명[히어로콘텐츠/표류④]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4월 1일 03시 00분


표류-생사의 경계에서 떠돌다
[上]수술 의사 없고, 법안은 스톱

이시운 교수가 뇌혈관 환자의 두개골을 열고 개두술을 하고 있다. 그가 이날 한 4번째 수술이다. 수술이 끝난 뒤 집중이 풀리면 피로가 몰려오곤 한다.
‘어떻게 수술실마다 의사가 없을 수 있나.’

박종열 씨(39)는 왼 다리가 거무죽죽하게 죽어가도록, 이준규 군(13)은 뇌에 피가 가득 차오르도록 의사를 만날 수 없었다. 동아일보 히어로콘텐츠팀이 구급차와 응급실에서 보낸 37일 동안 목격한 응급환자의 ‘표류’는 수술실을 지키는 의사 부족이 주된 원인이었다. 하물며 이 적은 수의 의사와 환자를 이어주는 시스템도 고장 나 있었다.

해마다 3058명의 의사가 배출된다. 그런데도 수술실은 텅 비어 있었다. 왜 의사들은 수술실을 떠나나. ‘수술 의사 대란’의 원인을 찾기 위해 2011년 신경외과를 택했던 전공의 111명이 12년이 지난 지금 어떤 의사로 일하고 있는지를 전수 조사했다. 그 결과, 여전히 응급 개두술을 활발히 하는 의사는 10명뿐이었다.

응급 개두술 의사를 따로 집계한 건 이들이 현장에서 가장 만나기 어려운 의사였기 때문이다. 응급수술할 일이 잦아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이 보장되지 않고, 적어도 3시간이 넘는 수술을 해야 하므로 체력적으로도 고된 일이다. 떠나는 의사가 많다. 지난해 7월 서울아산병원에서 근무 중 뇌출혈로 쓰러진 간호사도 병원 안에 이 의사가 없어서 사망했다.

그날의 운에 따라 환자가 수술 의사를 만나게 되는 어처구니없는 현실을 바꿀 대책이 왜 표류하고 있는지도 추적했다. 동아일보 히어로콘텐츠팀은 2019년 설 연휴 기간 응급의료 공백을 막기 위해 중앙응급의료센터를 지키다 과로사한 윤한덕 센터장의 하드디스크를 입수해 분석했다. 하드디스크 안에는 응급의료 시스템을 개선할 아이디어가 미완인 상태로 가득 담겨 있었다.

윤 센터장의 아내 민영주 씨는 31일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남편이) 어떤 정책을 하나 추진하려고 하면 (정부와 국회, 의료계) 반대가 심해 못 하겠다고 힘들어했다”며 “생전 집에 오지도 않고 일만 해서 원망스럽기도 했는데, 우리 사회에 꼭 필요한 일이라니 적극 말리지도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수술 의사와 환자를 신속하게 이어줄 정책을 고민하고, 그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각계에 울분이 담긴 호소 편지를 썼다. 2012년 윤 센터장은 “전국 460여 개의 응급의료기관 중에서 응급환자나 그 가족이 믿고 이용할 수 있는 응급실은 과연 몇 개나 되는가”라고 물었다. 11년이 지난 2023년, 그에 대한 답은 구급차를 탄 준규 군과 응급실에서 수술을 기다리는 종열 씨의 슬픈 ‘표류’였다.
동아일보 히어로콘텐츠팀이 이준규 군(13), 박종열 씨(39)의 ‘표류’를 따라가는 길에는 병원이 즐비했다. 하지만 응급실에는 병상이 없었고 수술실에는 의사가 없었다. 의료 선진국이라는 한국의 민낯이었다.

이시운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교수(41)는 수술실을 지키는 드문 의사 중 하나다. 그는 2011년 신경외과 전공을 택한 후 매년 1월이면 사찰에 가서 ‘생명을 구하는 의사가 되겠다는 초심을 지키게 해달라’고 기도한다. 의사가 천직이라고 믿는 그만의 간절한 의식이다.

이런 이 교수도 꺾일 때가 있다. 지난해 12월 22일 밤늦은 시각, 병원 10층 연구실에서 환자들의 사진을 판독하던 중이었다. 눈앞이 캄캄해지더니 한 치 앞도 보이지 않았다. 더듬더듬 병원 내 응급실로 향했다. 피로가 누적된 탓인지 안구 속 핏줄이 오그라든 상태라고 했다. 사흘 동안 병원 소파에서 쪽잠을 자며 연달아 뇌출혈 환자 응급 수술을 한 탓이려니 싶다. 일시적인 증상이었지만 그때를 생각하면 지금도 아찔하다. 그날 이 교수는 ‘수술실을 떠나야 하나’ 심각하게 고민했다.

● 111명 중 뇌출혈 응급 수술은 10명
그 많은 의사는 어디로 갔을까. 동아일보 히어로콘텐츠팀과 대한뇌혈관외과학회는 2011년 신경외과 전공의 1년 차였던 111명이 현재 어느 병원에서, 어떤 진료를 하고 있는지를 추적했다. 그동안 매년 진료 과목별 전공의 지원율에만 반짝 관심이 쏠릴 뿐, 왜 생명을 살리는 분야에 의사가 남아 있지 않은지를 분석한 시도는 없었다.

신경외과 전공의는 4년의 수련을 마치고 전문의가 될 때 뇌와 척추라는 세부 전공을 택하게 된다. 2011년 신경외과 전공의 1년 차 111명 중 12년이 지난 지금 응급 환자가 몰리는 대학병원에서 뇌출혈 환자를 대상으로 개두술을 하는 의사는 단 10명뿐이다. 이 10명 중 1명이 이 교수다. 응급 개두술은 뇌출혈 환자 등의 두개골을 열고 메스를 대는, 환자의 생사가 걸린 가장 고난도 수술이다. 언제 환자가 실려 올지 몰라 24시간 대기 상태이므로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은 꿈도 꿀 수 없다. 3시간 이상 걸리는 수술로 인한 체력 소모도 상당하다. 야간에 응급 환자라도 오면 의료진들은 녹초가 되곤 한다.

111명 가운데 20명은 뇌 질환을 진료하고 있지만, 뇌출혈 환자가 몰리는 대학병원에 남지 않았거나, 응급 수술이 적은 뇌종양을 주로 진료한다. 61명은 목·허리 디스크를 주로 보는 척추 분야를 선택했다. 나머지 15명은 전공의 4년 과정 도중에 아예 신경외과를 떠났고 나머지 5명은 현재 근무지가 파악되지 않았다.

● 대학병원 교수까지… 수술실 떠난 의사들
111명이 처음부터 신경외과 수술을 기피했던 건 아니다. 동아일보 히어로콘텐츠팀이 이들 중 75명에게 직접 물었더니, 전공의 →전임의→ 교수가 되는 과정에서 버티지 못하고 수술실을 떠났다고 대답했다.

권남훈(가명) 과장은 인턴을 마치고 신경외과에 지원할 때만 해도 수술을 하는 의사가 되고 싶었다. 하지만 전공의(레지던트) 3, 4년 차가 되자 날마다 응급 호출이 이어졌다. 응급 환자는 몰려드는데 신경외과 전공의는 부족했다. 그는 “아무리 야근해도 환자가 오고, 또 왔다”고 했다. 어느 날 새벽 호출을 받고 뛰어가던 그는 ‘더는 이렇게 살 자신이 없다’고 생각했다. 전공의를 끝낸 2015년, 그는 척추 분야를 택했다.

권 과장은 2017년부터 충북 청주시 한 종합병원 척추센터 과장으로 일하고 있다. 주로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를 진료하거나 디스크 시술을 한다. 교통사고로 척추 신경을 다친 환자를 응급 수술할 때도 있지만 드문 일이다.

김장환(가명) 과장은 2015년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 뇌혈관 전임의(펠로)로 임용됐다. 전임의는 전공의를 마친 후에도 대학병원에 남아 세부 전공을 배우는 과정이다. 자신의 전공과목에서 교수로 대학병원에 남으려면 이 과정을 거쳐야 한다. ‘펠노예’(펠로+노예의 합성어)라고 불릴 정도로 고되지만 김 과장은 주저하지 않았다. 그만큼 동경해온 일이었다. 김 과장처럼 전공의를 마친 뒤에도 응급 개두술을 했던 의사는 동기 111명 가운데 56명이나 됐다.

그러나 2년간의 펠로 생활은 김 과장의 신념을 바꿔놓았다. 수술실에 불려 가지 않은 밤을 손에 꼽을 정도로 바빴다. 이러다 환자보다 먼저 죽을 것 같았다.

보상도 작았다. 적어도 3시간이 걸리는 응급 개두술은 최소 6명의 의료진이 투입되어야 하고, 고가의 의료 소모품도 사용된다. 그런데 환자 1명당 병원이 받는 돈은 274만 원 정도다. 의사 1명이 수 분 안에 15만 원짜리 허리디스크 통증 완화 주사를 놓는 편이 수익 측면에선 낫다. 2017년 그는 결국 서울의 한 관절 전문병원으로 옮겼다. 그때부터 줄곧 디스크 환자를 치료하며 주사를 이용한 치료나 내시경 시술 등을 하고 있다. 더 이상 응급 수술은 하지 않고 있다.

이현곤 과장은 ‘펠노예’ 3년을 견디고 2018년 부산의 한 대학병원에 교수로 임용됐다. 그가 일한 병원은 인근 지역에서 응급 개두술이 가능한 유일한 병원이었다. 교수가 되면 삶이 조금은 나아질 것이라고 믿었는데…. 실제는 달랐다.

동료들이 하나둘 떠나면서 야간 당직은 오히려 펠로 때보다 늘어났다. 5주 연속으로 당직을 서고 1주 쉬는 일상을 반복했다. 취재팀 설문에 응한 응급 개두술 의사 9명의 한 달 평균 야간 당직 횟수는 14일이었다.

그는 2021년 암 치료를 주로 하는 부산의 한 종합병원으로 떠났다. 이후로도 뇌출혈 환자를 치료하고 있지만 응급 수술은 한 달에 1건으로 줄었다. 이직 전에는 15건이었다. 몸이 편해진 만큼 수술실에 남은 동료에 대한 걱정은 커졌다. “제가 떠난 병원엔 이제 뇌출혈 응급 수술을 하는 의사가 1명밖에 안 남았을 거예요. 그분도 얼마나 버티실지….”

이시운 교수가 수술 전 환자나 보호자와 작성한 하는 수술 동의서. 뇌혈관은 미세하고 예민해서, 조금만 조금만 수술이 늦어도 큰 후유증이 남을 수도 있다. 이에 미리 환자나 보호자에게 수술 부작용 등을 알려주며 동의서를 작성하도록 한다.

● 한 줌 남은 수술 의사, 다른 병원 출장까지
한 명씩 수술실을 떠날 때마다 남은 의사들의 부담이 커졌다. 지난달 8일, 이시운 교수는 의사가 200명이 넘는 서울의 한 종합병원에서 전화 한 통을 받았다. 뇌혈관이 크게 부풀어 손 대기 어려울 정도라며 수술할 의사가 없으니 환자를 받아 달라고 했다. 하지만 그가 일하는 분당서울대병원에는 환자를 입원시킬 병상이 없었다. 이 교수는 그 병원으로 차를 몰고 가 출장 수술을 했다.

이시운 교수가 수술을 마친 뒤 교수실로 걸어가고 있다. 이날 이시운 교수는 4건의 개두술을 연달아 진행했다. 통상 개두술은 수술 한 건에 3시간 이상 걸린다고 한다. 오전부터 쉬지 않고 수술을 하다 보니 점심 식사를 거르는 날이 대부분이다.
다행히 환자는 살렸다. ‘얼마나 더 버틸 수 있을까.’ 수술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 긴 응급 수술을 낮밤으로 보조하다 목 디스크가 온 후배 펠로의 얼굴이 떠올랐다. 그날 밤도 이 교수는 연구실에서 밀린 환자 차트를 보다가 소파에서 잠이 들었다.

취재팀이 연락한 대학병원 응급 개두술 의사 9명 중 7명은 최근 1년 안에 ‘지금 하는 일을 그만두고 싶다’고 생각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동아일보는 창간 100주년을 맞은 2020년부터 히어로콘텐츠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히어로콘텐츠팀의 ‘표류: 생사의 경계에서 떠돌다’와 디지털 스토리텔링 ‘그들이 구급차를 탔던 날’ 등은 저널리즘의 가치와 디지털 기술을 융합한 차별화된 보도를 지향합니다. 디지털 플랫폼 특화 기사는 ‘히어로콘텐츠’(original.donga.com)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생사의 경계에서 표류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디지털로 구현한
‘그들이 구급차를 탔던 날’
(original.donga.com/2023/sos1)
응급환자와 구급대원들이 구급차에 갇혔던 75분을 숨소리까지 담은
‘강남에 응급실이 없었다’
(original.donga.com/2023/sos2)
응급의료 현장을 360° 영상으로 구현한
‘표류 속으로’
(original.donga.com/2023/sos3)

▽팀장: 조건희 기자 becom@donga.com
▽취재: 송혜미 이상환 이지윤 기자
▽프로젝트 기획: 위은지 기자 ▽사진: 홍진환 기자
▽편집: 하승희, 양충현 기자 ▽그래픽: 김충민 기자
▽인터랙티브 개발: 임상아 뉴스룸 디벨로퍼 임희래 인턴
▽인터랙티브 디자인: 곽경민 인턴
본 기사는 4월 1일자 동아일보 A1⋅2⋅3면에 실렸습니다.
본 기사는 4월 1일자 동아일보 A1⋅2⋅3면에 실렸습니다.


#응급 수술#수술실 떠난 의사들#수술 의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