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후쿠시마 시찰단 합의에 “요식행위…독립검증 필요”

  • 뉴스1
  • 입력 2023년 5월 8일 14시 54분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공식 환영식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유코 여사와 함께 손을 흔들며 인사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023.5.7/뉴스1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공식 환영식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유코 여사와 함께 손을 흔들며 인사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023.5.7/뉴스1
한일 정상회담에서 일본 후쿠시마(福島) 제1원자력발전소 내 방사성 오염수에 대한 한국 전문가들의 시찰에 합의한 것을 두고 환경단체들이 “오염수 방류를 위한 요식행위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환경단체들은 오염수 방류 전 해양 생태계 및 인접 국가에 대한 안전성 검증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한일 정상 간 이번 결정에 대해 8일 “오염수 방류가 안전할지에 대해 객관적으로 증명할 데이터를 확보하는 게 우선”이라고 주장했다. 장마리 그린피스 캠페이너는 뉴스1과 통화에서 “방사성 오염수 내에는 약 60종의 방사성 물질이 있는데 해양 생태계는 물론 인접국가인 한국과 중국 등에게 미칠 영향에 대해 제대로 된 조사가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앞서 그린피스는 방사성 물질 중 삼중수소에 대해 제대로 연구되지 않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지난 70년간 삼중수소와 관련한 연구는 70만건이 있었는데, 그중 0.03%인 250건에만 삼중수소가 인체 등 생물학적 영향에 대한 내용이 담겼다. 이마저도 1970~1980년대의 러시아 핵실험 당시의 구식 연구로 확인됐다.

특히 기존 연구 중 인간 등 포유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전혀 없었다. 그린피스의 연구를 맡았던 티모시 무쏘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 생물학과 교수는 “도쿄전력이 삼중수소가 체내에 흡수되지 않는다는 내용을 홍보하는데, 이는 피부를 통한 흡수에 국한된다”며 “피부보다는 흡입이나 섭취 등으로 피폭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장 캠페이너는 “현장 시찰이 후쿠시마 방문이 현장에서 일본 측이 제공한 자료를 훑어보는 수준이라면 방문에 대한 진정한 의미가 없다”며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해 일본 정부와 도쿄정부에서 독립적인 연구팀이 현지에서 방사성 물질의 생태계 영향 여부를 연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탈핵시민행동과 일본 방사성 오염수 해양 투기 저지 공동행동, 시민방사능감시센터 등 환경운동연합 소속 단체들은 이날 성명을 내고 “한국 전문가의 현장 시찰단 파견 합의는 오염수 해양 투기의 명분을 쌓아주는 것”이라며 “오염수 방류를 위한 명분 쌓기를 중단하고, 방류 결정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후쿠시마 오염수를 과학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하겠다는 것은 거짓말이며, 시찰단 파견을 통해 오염수를 방류하겠다는 결정은 방류를 정당화하기 위한 얄팍한 합의”라며 “한일 양국 정상이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해양 투기 중단을 선언하고, 장기 보관 해법을 논의했어야 했다”고 강조했다.

일본 도쿄전력이 운용하는 후쿠시마 제1원전은 지난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 당시 폭발사고를 일으켜 가동이 중단됐다. 그러나 이후에도 사고 당시 녹아내린 핵연료를 식히기 위한 냉각수 주입과 외부의 지하수·빗물 유입 때문에 원전 건물 내에선 하루 140톤 안팎의 고농도 방사성 오염수가 생성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이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알프스)로 한 차례 정화한 뒤 원전부지 내 물탱크에 보관해왔다. 이 물탱크가 ‘곧 포화 상태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일본 측은 2021년 4월 후쿠시마 원전 내 오염수 처분 방식으로 해양 방류를 결정한 상태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