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 “정어리 집단폐사 재발 막아야” 대응책 마련 고심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5월 23일 03시 00분


지난해 정어리떼 226t 집단폐사
산소량 부족한 물덩어리에 질식
‘어업규제 완화 시범사업’ 적극 활용
미리 포획해 냉동-건조로 상품화

지난해 10월 3일 폐사한 정어리떼가 몰려든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마산중앙부두 앞바다. 정어리 집단폐사가 올해도 반복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창원시가 대응책을 준비하고 있다. 독자 제공
지난해 10월 3일 폐사한 정어리떼가 몰려든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마산중앙부두 앞바다. 정어리 집단폐사가 올해도 반복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창원시가 대응책을 준비하고 있다. 독자 제공
지난해 경남 창원 앞바다를 뒤덮었던 정어리 집단폐사가 올해도 반복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물고기 폐사체 처리와 악취 문제로 홍역을 치렀던 창원시는 대응책 마련을 위해 고심하고 있다.

창원시는 정어리 집단폐사 재발 방지를 위해 적극 대처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한다고 22일 밝혔다. 지난해 9월 말부터 마산만과 진동만 일대의 정어리 떼 집단 폐사체는 226t에 달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산소량이 부족한 물덩어리(빈산소수괴)로 인한 집단폐사로 결론 지었다. 빈산소수괴는 물고기의 질식사를 유발한다.

당시 집단폐사로 1500명에 가까운 인력과 50척이 넘는 선박 등이 동원돼 폐사체 사후 처리에 골머리를 앓았다. 인근 주민들은 폐사체가 썩는 과정에서 진동하는 악취 등으로 해안가 산책에도 지장을 받는 등 일상생활에서도 한동안 불편을 겪어야만 했다. 정어리는 회유성 어종으로 우리나라 남해와 동해, 일본 등 동북아시아 해역에 분포하고 있다. 플랑크톤을 주로 섭취하며 포식자들로부터 생존하기 위해 거대한 무리를 짓고 이동하는데 그 규모가 최대 수 km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도 남해안 일대에 정어리 떼가 대거 나올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달 통영 지역 정치망에 잡힌 물고기 중 90%가 정어리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출현 시기 또한 2개월 정도 빨라졌다. 국립수산과학원 관계자는 “지난해엔 6월에 정어리가 잡히기 시작했는데, 올해엔 4월부터 그물에 올라오고 있다”면서 “어군 탐지기로 정어리를 탐지하고, DNA를 분석해 정어리 떼 규모와 이동 시기 등 정보를 수집하고 있다”고 말했다.

국립수산과학원의 이런 전망에 창원시는 정어리 폐사 전후로 나눠 대책을 마련했다. 폐사 전 대책으로 정치망(물고기가 들어갔다가 되돌아 나오기 어렵게 만든 어구)을 운영하는 6곳에 정어리를 최대한 포획하도록 협조를 요청했다. 정어리 떼를 추적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고, 7월 시행하는 해양수산부의 ‘어업규제 완화 시범사업’도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이 시범사업은 멸치 기선권현망(2척의 동력어선으로 끌그물을 사용해 멸치를 잡는 어업) 조업 과정에서 정어리 등 다른 어종도 혼획할 수 있도록 하는 게 핵심으로, 창원시는 정어리의 집단폐사를 막고 어업인 소득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집단폐사에 신속히 대비하기 위해 어선·장비·인력 동원을 위한 연락체계(47개 어촌계)도 만들었다.

민원이 많은 집단폐사한 물고기 처리의 해법 찾기에도 힘을 쏟고 있다. 창원시는 지난해 수거한 정어리 226t 가운데 20t만 비료로 재자원화했다. 나머지는 206t은 모두 소각했다. 올해는 소각조차 여의치 않다. 하루 130t을 소각할 수 있는 성산소각장이 9월부터 1년간 보수를 위해 가동을 멈추고, 민간 업체는 처리 과정에서 악취와 자갈 등의 이물질이 많아 처리를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창원시 관계자는 “집단폐사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 살아 있는 정어리를 최대한 포획하고, 잡은 물고기는 급속 냉동이나 건조로 상품성을 만들어내겠다”면서 “집단폐사한 정어리는 비료 등에 많이 재활용되도록 유기질 비료 회사와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어리 집단폐사#어업규제 완화 시범사업#대응책 마련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