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구 서소문동 일대에 서울광장 크기의 개방형 녹지가 조성되고, 무교·다동 정비구역 내에는 업무·상업시설이 어우러진 생태숲과 도심광장 등 공원이 조성된다.
서울시가 건축 규제를 풀어 도심에 부족한 녹지공간을 확보하고 고밀도로 복합개발하는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 사업을 본격화한다고 16일 밝혔다.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은 대규모 민간 개발 시 대지 내 건축물의 면적(건폐율 50% 이하)을 줄이고, 저층부와 녹지와 개방형 공공공간(30% 이상)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남산과 청계천 등 주요 도심 생태·환경축과 민간과 공공부지 인접 지역과의 연계를 통해 연속적인 녹지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저층부 핵심 점포와 보도가 연결되도록 배치하고 열린공간, 지하공간 연계, 지하철 출입구 연결 등 건축물의 접근성과 이용 편의성을 높여 지역 활성화를 유도한다는 목표다.
그간 도시정비형 재개발 정비계획을 통해 법적으로 확보되는 공원의 면적은 약 5%에 불과했다. 기존 공개공지도 건물의 부속적 형태로 만들어져 보행환경을 저해하거나 활용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시는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 내 다동공원(도시계획시설사업) 1개소와 주민 제안이 이뤄진 9개 지구 등 전체 10곳에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을 적용한 정비사업을 추진 중이다.
그중 무교·다동 재개발 구역 내 다동공원은 일부 사업이 추진되지 않아 온전한 공원으로 조성되지 못하고 주차장과 파출소 등으로 활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시는 이 일대를 도심 표준공원으로 조성하기 위해 해당 지역에 우선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을 적용토록 했다. 부분적으로 조성된 공원을 대상으로 도시계획시설사업을 통해 공공재원을 투입, 해당 지역의 문화적·환경적 요소가 어우러진 공원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서소문빌딩, 중앙빌딩, 동화빌딩 등 서소문 일대도 우선 추진사업으로 진행하고 있다. 기존 3개 사업지구의 개방공간은 녹지·보행축이 단절되고 인근 대지와의 연계성이 떨어지는 등 한계가 있었다. 이에 민관 합동 통합기획을 통해 서울광장(1만3205㎡)크기의 대규모 녹지 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
민간과 공공부지 경계를 허물어 하나의 가로숲길을 조성하고, 차로 폭을 축소해 보행자 중심의 도로를 만든다. 남산 소나무 숲을 확장해 소규모 공간은 정원으로 조성한다. 지하수와 우수를 활용해 도심 한가운데 ‘계곡 숲’(가안)도 조성한다. 건축물 필로티 하부에는 날씨와 관계없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휴게시설을 만든다.
이렇게 되면 빌딩 숲 사이로 누구나 누릴 수 있는 대규모 열린 정원과 클래식 전문 공연장이 한데 어우러진 새로운 문화거점으로 재탄생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앞서 시는 많은 개방형녹지 공간을 조성하는 이른바 ‘서울 대개조’를 위해 ‘2030 서울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을 수립한 바 있다.
향후 시는 개방형녹지가 갖춰야 할 생태, 연속, 개방, 활력, 지속가능성 등 5가지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정비계획 수립 단계부터 설계, 시공, 유지관리 등을 아우르는 ‘가이드라인’을 올 하반기에 수립할 예정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도심 속에 공원녹지를 많이 만들수록 빗물이 유입되는 지형이 조성된다”며 “이를 통해 투수율이 높아져 지하로 흘러드는 빗물이 늘어나면서 폭우시엔 홍수 조절효과와 도시 열섬화도 완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