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재난경보 더 빨리… 댐-보-하굿둑 연결해 물그릇 넓힌다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7월 25일 03시 00분


코멘트

기후위기 정부 대책
대심도 터널-지하 방수로 등 확충
홍수 경보 6시간 전으로 앞당기고
산지 세분화해 산사태 위험 분석

정부가 급격한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해 홍수 경보 시간을 앞당기고, 도로나 터널 하수도 등 사회기반시설의 극한기후 대응 능력을 높이기로 했다.

환경부는 지난달 22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된 ‘제3차 국가 기후위기 적응 강화대책(2021∼2025)’을 발표했다. 최근 극한 가뭄과 홍수가 잦아지면서 이로 인한 재해에 대비하기 위해 3년 전 발표한 대책을 대폭 수정한 것이다.

이번 대책은 △미래 기후 위험을 반영한 사회 인프라 개선 △기후재난 사전 예·경보 강화 및 취약계층에 대한 피해 최소화 △기후 감시·예측 시스템 과학화 등의 내용을 담았다.

먼저 홍수와 가뭄에 대비하는 물관리 능력을 키우고 하수도, 대심도 터널 등 관련 사회기반시설을 확충한다. 홍수 방어 능력을 높이기 위해 하천 설계 목표도 높이기로 했다. 하천의 경우 주로 ‘100년 빈도 강수량’(기존 자료를 바탕으로 100년에 한 번 내리는 수준의 강수량)을 기준으로 제방 등을 쌓고 있다. 이를 200년 빈도로 강화하게 된다. 대심도 터널, 지하 방수로, 강변 저류지 등 홍수 대비 인프라도 늘릴 예정이다.

또한 가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댐-보-하굿둑을 연계해 물그릇을 키우고 저수지 치수 능력을 보강한다. 지난해 8월 전국적인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 피해와 이달 미호강 범람으로 인한 충북 청주시 오송읍 제2궁평지하차도 침수 사고와 같은 재해를 막기 위해 기반시설을 확충하겠다는 것이다.

도시 기본계획 수립 시 재해 취약성을 분석하여 방재계획을 수립하고, 폭염과 폭우 등 기후 위험을 고려한 도로·철도의 설계기준을 강화한다. 해일 등에 대비해 해안 도시의 경우 연안별 특성을 고려해 방파제를 보강하고 항만·어항 설계기준도 전면 개선하기로 했다.

이번 오송 지하차도 침수 사고 당시 당국이 미호강의 범람을 제때 인지하지 못해 피해 규모를 키웠다는 지적이 있었던 만큼, 기후재난 사전 예·경보도 강화해 기후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 인공지능(AI) 홍수예보 시스템을 도입해 기존의 홍수 발생 3시간 전에 내려지던 예·경보를 6시간 전으로 앞당긴다. 산불 대비책으로 기존 단기(3일 전)만 제공하던 산불 예측 정보를 중기(7일 전), 장기(1개월 전)까지 제공하고 기상 가뭄 정보도 3개월 이상으로 확대한다.

기후 감시·예측 시스템도 강화할 방침이다. 미래의 인구·에너지 사용 등의 추이까지 고려해 기후변화 예측을 개선하고, 읍면동(1km) 단위로 기후변화 상황 지도를 제공한다. 산사태 위험도를 파악하기 위해 전국 산지를 62만 개 구역으로 잘게 쪼개 분석한다. 환경부 등 관계 부처별로 흩어진 기후변화 적응 정보를 통합 제공하는 종합 플랫폼을 구축해 국민의 정보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인공지능 활용#기후위기 정부 대책#기후 감시·예측#시스템 강화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