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서울 자치구 중 지능형 CCTV 비율이 5%에도 못 미치는 곳이 절반에 가까운 11곳에 달했다. 반면 종로구(100%), 양천구(90%), 성북구(80%) 등은 대부분이 지능형이었다. CCTV의 ‘양’뿐 아니라 ‘질’에서도 격차가 큰 것이다.
정부 목표는 올 1월 기준으로 전국 CCTV 53만 대 중 24%인 지능형 비율을 2027년까지 100%로 올리는 것이다. 하지만 10월 말 현재 지능형 도입 비율은 31%에 불과하다. 이대로라면 2027년에도 전환율은 절반 안팎에 불과할 전망이다.
일반 CCTV는 관제요원이 자리에 앉아 일일이 눈으로 화면을 지켜보면서 이상징후를 포착한다. 반면 지능형 CCTV는 AI를 활용해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고 이상징후가 감지될 경우 그 장소를 사각형으로 표시해 ‘폭력’, ‘칼부림’, ‘쓰러짐’ 등의 문구와 함께 표시해 준다.
효율성을 크게 높여줄 수 있음에도 확산이 더딘 것은 전환에 적잖은 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CCTV 1곳을 구축하는 데 2500만 원가량이 들지만 지능형은 3000만 원 이상이 들어간다. AI 분석 기능을 탑재하는 소프트웨어를 구입해야 하고 이를 관리하는 고성능 서버도 구축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 200만 화소 이하인 노후 CCTV 카메라는 지능형 전환이 불가능하다.
최근 강력범죄가 이어지면서 다시 지능형 CCTV 확대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문제는 예산이다. 한 광역자치단체 관계자는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로 지방세수가 줄어든 데다 세수 펑크로 정부 교부금까지 줄어 CCTV 전환에 예산을 투입할 여력이 없다”며 “정부 차원의 획기적 지원이 없으면 지능형 전면 전환은 요원한 과제”라고 말했다.
지난달 12일 오후 경기 오산시 스마트시티 통합운영센터.
오산시에 설치된 CCTV 2366대를 총괄 운영하는 이곳에선 관제요원 4명이 각자 컴퓨터 모니터 4개씩을 들여다보고 있었다.
이달 12일 경기 오산시 스마트시티 통합운영센터에서 담당 직원이 CCTV 화면을 감시하고 있다. 오산=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CCTV가 사람을 인식한 경우 모니터에 붉은 사각형이 나타나고 ‘사람’, ‘여성’, ‘짧은 소매’, ‘긴바지’ 등 관찰 대상의 특징이 문자로 떴다. 상황이 일반적이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 붉은 사각형이 사정없이 흔들렸다. AI가 현장에서 포착된 상황을 관제요원들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해 주는 모습이었다.
●지능형으로 이상징후 포착 시간 45% 줄여
이날 동아일보는 지난해 6월 관내 모든 CCTV를 지능형으로 바꾼 오산시에서 지능형 CCTV 성능 실험을 진행했다. 거리에서 두 명이 싸우는 포즈를 취하도록 하고 이를 얼마나 빨리 포착하는지 테스트한 것이다.
지능형 CCTV는 실험이 시작된 지 약 20초 만에 싸우는 두 명의 영상을 포착했다. 관제센터 화면에 붉은 사각형이 나타났고 ‘폭력’이란 문구가 뜨며 관제요원의 주의를 끌었다. 싸우는 이들이 붙었다가 떨어질 때마다 사각형의 크기도 달라지며 급박한 상황임을 알 수 있게 했다.
반면 관제요원이 일반 CCTV에서 싸우는 사람들을 포착하는 데는 35.9초가 걸렸다. 지능형이 45%가량 시간을 절감하게 해준 것이다. 오산시 관계자는 “관제요원 한 명이 약 500개의 CCTV 화면을 감시한다”며 “지능형은 위기 징후를 자동으로 감지해 알려주니 놓치는 경우가 일반 CCTV 때보다 훨씬 줄었다”고 했다.
전문가들은 강력 범죄와 인파 사고 등을 막기 위해선 지능형 CCTV 도입을 서둘러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지능형 CCTV는 딥러닝 기술을 활용해 ‘폭력’, ‘칼부림’, ‘경계선 이탈’ 등 범죄 상황은 물론 ‘연기’, ‘쓰러짐’ 등 재난 상황도 감지해 알려준다. 성별과 연령뿐 아니라 인상착의 등까지 파악해 범죄 피의자의 동선이나 치매 노인 등 실종자를 찾을 때도 활용도가 높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일반 CCTV로 치매 어르신을 찾으려면 종일 찍힌 영상을 돌려가며 찾아야 하지만 지능형의 경우 키워드 검색을 통해 간단하게 찾을 수 있다”고 했다.
● 라이선스 등 구축 비용이 문제
일반 CCTV를 지능형으로 전환하는 방법은 두 가지다. 하나는 AI 소프트웨어가 포함된 단말기를 CCTV 설치 장소마다 부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일반 CCTV 영상을 전송받은 관제센터에서 실시간으로 AI 소프트웨어를 적용해 분석하는 것이다.
이달 12일 경기 오산시 스마트시티 통합운영센터에서 감시하는 카메라에 폭력 상황을 연출하는 장면이 CCTV에 촬영됐다. 영상이 판독된 직후부터 화면에 찍힌 사람들의 인상착의를 분석하는 지능형CCTV 화면. 오산=양회성 기자 yohan@donga.com어느 경우든 CCTV당 100만 원가량인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를 구입해야 한다. 현재 지능형으로 전환되지 않은 37만 대를 모두 전환하려면 라이선스 비용만 3700억 원가량이 든다. 여기에 관제센터에서 서버를 관리할 경우 전송된 영상을 저장하고 분석하는 고성능 서버도 구축해야 한다. 오산시 관계자는 “서버 구축에만 CCTV 100대당 4000만 원 이상이 들어간다”며 “여기에 서버 유지 보수 비용과 노후 CCTV 교체 비용은 별도”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재정자립도가 낮은 지자체들은 지능형 CCTV 확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능형 CCTV가 한 대도 없는 노원구 관계자는 “예산이 제한돼 있다 보니 올 12월에야 지능형 17대를 설치할 예정”이라며 “일반 CCTV를 먼저 확충하고 이후 여력이 되는 대로 지능형으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추진 중”이라고 했다. 노원구는 서울 지자체 25곳 중 재정자립도가 가장 낮다.
역시 지능형 CCTV 설치 실적이 없는 강북구 관계자도 “아직 가격이 비싸고 성능도 제한적이어서 도입이 지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마포구의 경우에도 예산 등의 문제로 내년부터 지능형 CCTV 도입을 추진하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지능형 CCTV 보급 확대를 위한 중앙정부의 의지가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지금까지 정부의 CCTV 관련 예산은 지능형 표준모델 개발 등 연구개발(R&D) 분야에 치우쳐 있었고, 도입은 지방자치단체에 맡기는 경우가 많았다는 것이다.
이도선 한남대 경찰학과 교수는 “예산이 취약한 지방자치단체가 우범지대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중앙정부나 광역자치단체가 중심이 돼 공모 또는 부처 지원 등의 방식으로 지능형 CCTV를 확대 보급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소정 기자 sojee@donga.com 전혜진 기자 sunrise@donga.com 사지원 기자 4g1@donga.com 최원영 기자 o0@donga.com
좋아요
12개
슬퍼요
2개
화나요
4개
댓글 11
추천 많은 댓글
2023-11-01 07:55:33
결국은 안전에 대한 지자체장의 인식 문제.구(시)민 안전을 생각한다면 선심성 복지 예산 줄이고 지능형에 투자하겠지만, 선거의식하고 표만 보고 당장 눈에 보이는 것에만 마구마구 퍼주는...이런 사고방식으로는 글쎄...중앙정부 지원을 바라지마라.정부가 돈 찍어내는 기계냐? 쓸데없는 축제 없애고,불요불급한 곳은 뒤로 미루는 등 자치 단체 예산 구조조정 좀 해 봐라.오늘도 펑펑 예산 낭비되는 현장 보면서 한숨만 쉬면서 지나간다.
2023-11-01 06:12:29
결국은 업체의 판촉기사와 뭐가 다르지 ?
2023-11-01 10:36:31
맞다! CCTV가 더 많이 설치되어 범죄자는 바로 잡힌다는 인식이 심어지게 해야 한다. 과거 인권을 운운하며 설치를 못하게 했던 단체들은 자신들 패거리가 도망갈 곳이 필요해서 였을것이다. 조폭국민이 아닌, 서민국민을 위해서 설치되어야 한다.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지능형 cctv를 보면 사람들의 행동을 강조하고 무슨 행동인지 나옵니다. 두 사람이 아닌 여러 사람이 모여있을 때도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리고 지능형cctv를 도입하는 것도 훌륭하지만 일반 cctv의 사각이 없도록 cctv 도입을 보충하는게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또한 cctv 도입 뿐만 아니라 cctv를 통해 일이 발생했을 때 현장에 도달할 수 있는 인력을 배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2023-11-01 14:31:35
cctv회사 떼돈 벌겠네. ㅋㅋ
2023-11-01 13:59:00
과학기술로 먹고 사는 나라가 50년만에 처음으로 연구개발비 처음으로 3조 삭감해서 과학아들 1300면 조쪼츤 미친정권 반드시 천벌받을것이다
2023-11-01 12:24:46
각 구청 곳곳에 쓸데없이 멀쩡한 인도 파헤쳐 보도블록 교체하는곳 많고, 생색내기 일회성 행사에 돈퍼붓는거 왜 지적질 안하노. 그런거 1년만 늦추면 cctv 다 설치하고도 남겠다.
2023-11-01 11:19:18
예산타령하지마라국개들줄이고지방의윈들줄이면충분하다
2023-11-01 11:17:58
미쳤구나. 범죄예방을 구실삼아서 국민감시,사생활침해, 정권이 바뀌어도 달라지는건 없다는걸 느낀다. 결국 그들이 원하는세상으로 만들어가고있구나.
2023-11-01 11:01:07
지능형 CCTV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시대에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협력이 필요한 문제가 뚜렷하게 드러났습니다. 효율적인 범죄 및 안전 관리를 위해서는 지능형 CCTV의 보급과 업그레이드가 필수적입니다. 현재 예산 문제로 인해 진행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이지만,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들이 협력하여 이 문제를 극복하고 지능형 CCTV의 보급을 가속화해야 합니다. 안전한 사회를 구축하기 위한 중요한 노력에 감사드립니다.
맞다! CCTV가 더 많이 설치되어 범죄자는 바로 잡힌다는 인식이 심어지게 해야 한다. 과거 인권을 운운하며 설치를 못하게 했던 단체들은 자신들 패거리가 도망갈 곳이 필요해서 였을것이다. 조폭국민이 아닌, 서민국민을 위해서 설치되어야 한다.
2023-11-01 07:55:33
결국은 안전에 대한 지자체장의 인식 문제.구(시)민 안전을 생각한다면 선심성 복지 예산 줄이고 지능형에 투자하겠지만, 선거의식하고 표만 보고 당장 눈에 보이는 것에만 마구마구 퍼주는...이런 사고방식으로는 글쎄...중앙정부 지원을 바라지마라.정부가 돈 찍어내는 기계냐? 쓸데없는 축제 없애고,불요불급한 곳은 뒤로 미루는 등 자치 단체 예산 구조조정 좀 해 봐라.오늘도 펑펑 예산 낭비되는 현장 보면서 한숨만 쉬면서 지나간다.
댓글 11
추천 많은 댓글
2023-11-01 07:55:33
결국은 안전에 대한 지자체장의 인식 문제.구(시)민 안전을 생각한다면 선심성 복지 예산 줄이고 지능형에 투자하겠지만, 선거의식하고 표만 보고 당장 눈에 보이는 것에만 마구마구 퍼주는...이런 사고방식으로는 글쎄...중앙정부 지원을 바라지마라.정부가 돈 찍어내는 기계냐? 쓸데없는 축제 없애고,불요불급한 곳은 뒤로 미루는 등 자치 단체 예산 구조조정 좀 해 봐라.오늘도 펑펑 예산 낭비되는 현장 보면서 한숨만 쉬면서 지나간다.
2023-11-01 06:12:29
결국은 업체의 판촉기사와 뭐가 다르지 ?
2023-11-01 10:36:31
맞다! CCTV가 더 많이 설치되어 범죄자는 바로 잡힌다는 인식이 심어지게 해야 한다. 과거 인권을 운운하며 설치를 못하게 했던 단체들은 자신들 패거리가 도망갈 곳이 필요해서 였을것이다. 조폭국민이 아닌, 서민국민을 위해서 설치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