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34세 결혼적령기 미혼자 절반 넘었다…혼자 사는 청년 200만명 육박

  • 뉴스1
  • 입력 2023년 11월 27일 12시 59분


ⓒ News1
ⓒ News1
평균혼인연령대인 30~34세의 미혼 비중이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혼자 사는 청년 세대 역시 200만명에 육박하며 5년 전보다 대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통계청의 ‘2000~2020년 우리나라 청년세대의 변화’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청년세대(만19~34세) 인구는 1021만3000명으로 총인구(5013만3000명)의 20.4%를 차지했다.

총인구 중에서 청년세대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990년 31.9%(1384만9000명)로 가장 높았다. 이후 2020년 초반까지 감소추세가 지속되면서 2050년 청년인구 비중은 11.0%로 하락할 전망이다.

2020년 기준 혼인상태가 ‘미혼’인 청년세대는 783만7000명으로 전체의 81.5%를 차지했다. 2015년(75.0%)과 비교하면 비중이 6.5%포인트(p)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2020년 30~34세의 미혼 비중이 56.3%를 기록해 2000년(18.7%) 대비 약 3배 증가했다.

25~29세의 미혼 비중도 같은기간 54.2%에서 87.4%로 33.2%p 늘었다.

2020년 기준 혼자사는 청년세대 인구는 193만5000명이며, 이는 전체 청년 중 20.1%의 비중을 차지한다. 부모와 동거하는 청년세대 비중은 55.3%로 나타났다.

ⓒ News1
ⓒ News1
혼자사는 청년의 비중은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는 가운데 2015년 12.9%에서 2020년 20.1%로 대폭 증가했다.

청년세대가 부모, 배우자 등과 떨어져 혼자 살고 있는 주된 이유는 ‘본인의 직장 때문’인 경우가 55.7%로 가장 많았다. 이어 ‘본인의 독립생활’ 23.6%, ‘본인의 학업 때문’이 14.8% 순으로 나타났다.

2020년 기준 청년세대의 53.8%(549만1000명)가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다. 2015년(52.1%)보다 1.6%p 늘었다.

청년세대 중 대학 이상 ‘고등교육 졸업자’는 2020년 기준 509만8000명으로 2015년 529만5000명 대비 3.7% 줄었다.

2020년 기준 청년세대의 62.5%(601만2000명)가 경제활동을 하고 있었다. 2015년 59.0%에 비해 3.6%p 증가했다.

2015~2020년 혼자사는 청년세대 주거실태 (통계청 제공). 2023.11.27
2015~2020년 혼자사는 청년세대 주거실태 (통계청 제공). 2023.11.27
혼자사는 청년세대의 거처유형은 ‘단독주택’의 비중이 50.8%로 가장 높았다. 이어 ‘아파트’ 20.8%, ‘주택 이외의 거처’ 14.9% 순이다.

단독주택에는 일반단독주택, 다가구단독주택, 영업겸용단독주택, 비거주용건물내 주택 등이 포함된다. 주택 이외의 거처에는 오피스텔이 해당된다.

점유형태의 경우 2020년 ‘월세(사글세)’의 비중이 58.2%, ‘전세’ 26.6%, ‘자가’ 10.5%를 기록했다.

2015년 대비 월세 비중은 65.6%에서 7.4%p 감소했다. 전세와 자가 비중은 각각 6.0%p, 2.8%p 증가했다.



(세종=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