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경남지역 상급종합병원 중 상당 수가 필수의료과인 소아청소년과와 산부인과의 전공의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지난 6일 마감된 부산·경남지역 상급종합병원 6곳(경상국립대병원, 창원삼성병원, 인제대 부산백병원, 동아대병원, 부산대병원, 양산부산대병원)의 내년도 상반기 전공의 지원결과, 소아청소년과, 산부인과 등 필수 의료과에서 대부분 미달이 발생했다.
소아청소년과의 경우 삼성창원병원과 경상국립대병원, 인제대 부산백병원은 지원자가 한 명도 없었다. 부산대병원과 동아대병원은 정원 2명 중 1명이 지원했고 양산부산대병원은 정원 5명 중 1명을 채웠다.
산부인과의 경우 부산백병원에서만 정원 3명을 모두 채웠다. 부산대병원은 정원 4명 중 3명이 지원했다. 나머지 병원은 모두 산부인과 지원자가 없었다.
응급의학과는 5개 병원에서 정원을 채웠지만 양산부산대병원에서만 지원자가 없었다.
이 밖에 흉부외과, 가정의학과도 정원을 채우지 못했거나 지원자가 없었다.
필수진료과의 전공의를 확보하지 못한 병원들은 수시로 채용 공고를 올리거나 모자병원에서 인력을 파견 받는 등 전공의 충원을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삼성창원병원 관계자는 “창원병원은 서울병원과 모자협약이 맺어져 있다”며 “서울병원의 전공의들을 파견 받는 형태로 인력을 충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부산대병원 관계자는 “필수의료과 전공의는 모집이 거의 안 돼 수시로 채용공고를 게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역 의료계에서는 이번 전공의 미달 사태를 두고 의료수가 제도 개선, 전공의 근로조건, 저출산 등 다양한 원인을 꼽으면서 의과대학 정원 확대가 의사 인력 부족 문제의 해결책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
조혜인 경남의사회 사무처장은 “이번 전공의 미달 사태는 의사 수 부족이 아니라 낮은 의료수가 문제로 인해 필수의료과에 지원을 하지 않는 것이 문제”라며 “현재 의대 정원 확대를 해도 필수 의료과에서는 인력이 배출되기 힘들다는 것이 의협의 주장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재 전공의들은 주 80시간 일하고 300만원 남짓의 급여를 받고 있다”며 “병원에서 수련의들을 값싼 노동력으로 사용하는 구조에서 필수의료과를 전공하게 되면 나중에 전문의가 되고 개업했을 때 장래 주어질 보상도 불분명하다 보니 지원률이 더 낮아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인석 양산시의사회장(산부인과 의원 원장)은 “산부인과의 경우 출산율이 낮아지면서 산과분야는 지방에서 몰락해 출산을 할 수 있는 병원도 줄어들고 있다”며 “여성환자들이 남성 의사를 기피하기도 해 최근 남성 전공의 지원자들은 산부인과에 지원하지 않는 경향도 강하다”고 말했다.
마상혁 창원파티마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소아과를 지원해도 비전이 보이지 않고 성형외과 등 인기과 의사들과 10~20년 뒤를 비교해보면 차이가 많이 벌어져 있는데 누가 소아과를 선택하겠나”며 “지역 소아과 의사들은 이번 사태를 보고 포기한 상태”라고 밝혔다.
이어 “일본의 경우 의료수가를 5배씩 올리자 지원이 늘었다”며 “소아과나 비인기 필수의료과를 전공해도 비전이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