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00만 한국 인구, 50년후엔 3600만명대… 65세이상이 절반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12월 15일 03시 00분


코멘트

통계청 “최악땐 3000만명 될수도”

한국의 총인구가 급감하면서 50년 뒤에는 3600만 명대까지 추락할 것으로 추산됐다. 또 저출산 속에 급격한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50년 뒤에는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전체의 절반에 육박할 것으로 예측됐다.

14일 통계청이 내놓은 ‘2022∼2072년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지난해 5167만 명으로 추산된 한국의 총인구는 2050년 4711만 명으로 줄고 2072년에는 3622만 명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3622만 명은 1977년 인구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이번 조사의 총인구는 한국에서 3개월 이상 거주하는 내국인과 외국인을 포함한 개념이다.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0.78명에서 2025년 0.65명까지 추락한 뒤에 조금씩 상승하지만 2072년에도 1.08명에 그칠 것으로 예측됐다. 이에 따라 한국의 인구 구조가 빠르게 고령화돼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지난해 17.4%에서 2030년 25.3%, 2050년 40.1%로 높아지고 2072년에는 47.7%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이번 분석은 인구 변동을 높은 수준과 낮은 수준, 중간 수준으로 가정하는 시나리오를 활용해 진행됐는데 이 같은 예측은 중간 수준을 기준으로 한 결과다. 비관적인 시나리오인 낮은 수준의 추계에서는 2072년 총인구가 3017만 명(1967년 인구 수준)까지 떨어질 것으로 분석됐다.

초등생 향후 7년간 100만명 감소… 생산인구도 332만명 뚝






통계청 ‘2022∼2072 장래인구추계’
50년후엔 63세가 국민 ‘중간나이’
노년 부양비 4배 이상 늘어나
“저출산 대책 작동하는지 의문”


33년 뒤에는 ‘환갑’을 맞아도 한국 사회에서 어른 대접을 받기 어렵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72년에는 생산연령인구(15∼64세) 1명이 노인 1명 이상을 부양하는 유일한 나라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근본적인 시스템 개조가 필요한데도 정부 대응이 지지부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 2056년부턴 60세 이상이 절반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2022∼2072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중위 연령은 2072년 63.4세로 상승한다. 지난해 중위 연령은 44.9세였는데 50년 만에 18.5세가 높아지는 것이다. 그나마 중립적인 시나리오(2072년 합계출산율 1.08명)를 가정했을 때다. 가장 비관적인 시나리오(2072년 합계출산율 0.82명)인 ‘저위 추계’로는 2072년 중위 연령이 65.8세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위 연령은 국민 모두를 나이 순으로 줄 세웠을 때 가운데 사람의 나이를 뜻한다.

중위 연령은 8년 뒤인 2031년 50세를 넘어서고 2056년에 60세(중립 시나리오 기준)에 도달한다. 2056년부터는 환갑이 돼도 전체 인구 중 젊은 축에 속하게 되는 셈이다. 이때부터는 60세 이상이 인구 중 절반이 넘는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2072년에는 63세 이상이 절반이 되는 것이다.

반면 지난해 595만 명이었던 유소년 인구(0∼14세)는 2072년엔 238만 명으로 절반 이하로 줄어들 것으로 추산된다. 초등학생부터 대학생을 포괄하는 학령인구(6∼21세)는 같은 기간 750만 명에서 337만 명까지 감소한다. 특히 초등학생 수는 앞으로 7년간 100만 명 줄어든다. 2023년 261만 명에서 2030년 161만 명으로 줄어드는 것이다.

● 4배 넘게 불어나는 노년 부양비

경제활동이 가능한 생산연령인구도 빠르게 줄어든다. 생산연령인구는 앞으로 10년 동안 332만 명 감소한다. 2072년에는 1658만 명으로 지난해의 45.1% 수준에 그친다. 생산연령인구는 2029년까지는 연평균 32만 명, 2030년부터 2039년까지는 50만 명씩 줄어든다. 생산연령인구 감소가 가팔라지면 한국 경제 활력 역시 빠르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통계청이 유엔의 인구추계를 인용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생산연령인구 비중은 지난해 71.1%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하지만 2072년에는 45.8%로 OECD 국가 중 유일하게 40%대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미래 세대의 부양 부담은 더욱 커진다. 노년 부양비는 2072년 104.2명으로 지난해(24.4명)의 4배 이상으로 불어난다. 노년 부양비는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할 65세 이상 고령 인구를 의미하는데, 생산연령인구 1명이 고령 인구 1명 이상을 부양해야 하는 시대가 오는 것이다. 한국의 노년 부양비는 지난해 OECD 하위 10위 수준이었지만 2072년에는 1위로 올라선다. 2위 일본(76.9명), 3위 스페인(73.2명)보다 월등히 높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2072년 1727만 명으로 지난해의 3배 가까이로 불어난다.

조영태 서울대 보건학과 교수는 “정부가 대통령을 위원장으로 하는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를 통해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는 의문”이라며 “인구 구조 변화가 예상되는데도 교육, 국방, 도시 정책 등 인구 성장기에 맞춰져 있는 우리 사회 시스템은 바뀌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 인구#장래인구추게#노인 부양#생산인구#저출산#고령화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