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군구 절반 이미 ‘초고령사회’…고령화 가장 빠른 지역은?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1월 3일 15시 57분


노인의 날인 지난 10월2일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어르신들이 무료급식을 받기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고 있다. 2023.10.2 뉴스1
전국 기초자치단체의 과반(51.6%)이 이미 65세 이상 인구 비중 20%를 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3일 한국고용정보원 계간지 ‘지역산업과 고용’ 겨울호에 따르면 안준기 부연구위원은 통계청 인구센서스 자료를 이용해 2015~2022년 시군구 250곳의 고령화 정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기초지자체의 비중이 2015년 33.2%에서 2022년 51.6%로 18.4%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기준으로 고령층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북 의성군(44.7%)이었고, 전남 고흥군(43.0%), 경북 군위군(42.6%), 경남 합천군(42.0%) 등이 뒤를 이었다. 이 중 군위군은 지난해 7월 대구에 편입됐다.

2015~2022년 고령자 비율 증가분을 연간 평균으로 나눠 계산한 고령화 속도는 광역지자체 중 부산(0.968)이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0.839), 대구(0.807), 강원(0.791) 등이 뒤를 이었다.

안 부연구위원은 “고령화가 심한 지역은 ‘괜찮은 일자리’가 부족해 생산가능인구가 지속적으로 유출되는 모습”이라며 “고령자가 안전하게 일할 환경을 구축하고 지역균형발전으로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좋아요
    4
  • 슬퍼요
    10
  • 화나요
    0

댓글 3

추천 많은 댓글

  • 2024-01-03 17:41:10

    박지원, 문희상, 해골찬바가지 그리고 세균덩어리를 비롯하여 개죄명망할당 늙은 당원들과 종북좌파들을 모조리 고려장시켜 버리면 나라의 평균 연령이 젊어 질 것이다.

  • 2024-01-03 16:36:54

    고령사회 모면방법: 가임청년가정 개키울때 허가(허가비:양육비). 개를 자식처럼, 아내처럼, 남편처럼 키우고 있으니 고령사회될 수 밖에. 개고기 문제도 함께 해결.

  • 2024-01-03 17:13:54

    최저임금 결정권을 기초단체에 줘야 하고 지방기업 세제지원 늘려야 된다. 그리고 양육부담을 부모와 사회가 나눠야 된다.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4
  • 슬퍼요
    1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