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공백 혼란]
군의관 등 158명 병원 20곳으로
병원 “수술-입원 건수 회복 못해”… 정부 “내주 200명 추가 투입할것”
공보의 빠진 지역보건소 진료 차질… “지방의사 없다며 서울 차출 모순”
정부가 전공의(인턴, 레지던트) 이탈로 인한 의료 공백을 메우기 위해 11일부터 대형 병원 20곳에 공중보건의(공보의) 138명, 군의관 20명을 투입했다. 투입 첫날 병원에선 “전문의가 아니라 일반의가 대부분”이라며 “도움이야 되겠지만 필수의료 공백을 메우기에는 역부족”이란 지적이 나왔다. 의료 취약 지역에서 일하는 공보의를 차출한 것을 두고 농어촌의 진료 차질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정부는 다음 주 군의관 50명, 공보의 150명을 추가로 투입할 방침이다.
● 중증·응급 필수 진료부터 투입
공보의와 군의관은 이날부터 빅5 병원(서울아산, 서울대, 삼성서울, 세브란스, 서울성모병원)과 지역 거점 국립대병원을 포함한 대형 병원 20곳에 4주 동안 투입됐다. 대부분은 해당 병원의 전산 시스템 교육 등을 거친 뒤 13일부터 진료에 본격적으로 투입된다. 전공의 수련 과정을 해당 병원에서 거친 일부 군의관, 공보의만 11일부터 진료를 시작했다.
병원들은 중증·응급 진료 분야에 군의관과 공보의를 집중 투입할 계획이다. 서울아산병원 관계자는 “14일부터 중환자실이나 준중환자실 등 위중한 입원 환자가 있는 현장에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립암센터는 전문의의 경우 각 전공과에 배치하고, 일반의는 응급실 및 입원 병동 위주로 투입하기로 했다. 삼성서울병원도 파견 인력을 필수의료 분야에 우선 배치한다.
● 10명 중 6명 일반의… “전문의 필요”
현장에선 파견 인력 10명 중 6명이 전공의 과정을 마친 전문의가 아니라, 의대를 졸업하고 의사 면허만 취득했거나 인턴까지만 수료한 일반의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는 분위기다. 군의관 20명은 모두 전문의지만, 공보의는 138명 중 46명만 전문의이고 나머지는 일반의다. 서울의 한 대형병원 관계자는 “일반의가 대부분이라 수술이나 입원 건수가 예전으로 돌아갈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고 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공보의 중 전문의는 대부분 지역 응급의료기관에서 근무하거나 응급실 진료를 맡고 있어 쉽게 차출하기 어려웠다”고 해명했다. 현재 공보의 1450여 명 중 전문의는 430여 명이다.
일부 병원은 파견받은 인력 대부분이 비필수 분야 의사들이라 난감한 모습이었다. 전남대병원은 이날 군의관 1명과 공보의 7명을 파견받았는데 그중 4명은 성형외과 전공이었고, 필수 분야는 소아청소년과 1명뿐이었다. 전남대병원 관계자는 “왜 성형외과 전문의 4명이 배치됐는지 모르겠다. 마취통증의학과 등 수술 인력 충원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 병원은 최근 인력 부족 때문에 성형외과, 비뇨기과 등 2개 병동을 일시 폐쇄했고, 분원인 화순전남대병원 일부 병동도 통폐합한 상태다.
● 지역 의료 공백 우려도
의료 취약지에서 근무하는 공보의들이 차출되면서 지역 필수의료에 공백이 생길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경남 산청군 보건의료원의 경우 공보의 7명 중 2명이 11일 서울 대형 병원으로 파견됐다. 산청군 관계자는 “공보의 4명이 근무하던 응급실에서도 1명이 빠져 남은 3명이 응급실을 운영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충남 계룡시보건소엔 1명뿐인 공보의가 서울 세브란스병원으로 파견되면서 아산시보건소에서 근무 중인 공보의가 계룡시로 옮겨 올 때까지 환자를 돌볼 의사가 없는 상황이 됐다. 서울 상급종합병원에서 일하는 한 교수는 “지방에서 일할 필수의료 의사가 부족하다면서 거기서 일하는 공보의들을 빼서 서울로 보낸다는 건 앞뒤가 안 맞는다”고 지적했다. 정통령 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도서 지역 등에서의 차출은 가급적 배제하고 있다. 일부 진료에 불편을 겪는 부분은 순환 근무 등을 통해 메울 것”이라고 밝혔다.
군의관과 공중보건의
군의관은 의사 자격을 갖춘 상태에서 군에 배속돼 보건, 방역, 진료 등을 수행하는 장교. 공중보건의는 병역 의무 대신 3년 동안 공무원 신분으로 농어촌 등 의료 취약지역에서 일하는 의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