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노인 챙기는 사이 ‘40대’ 취업자만 줄었다…“중년男 특히 고용취약”

  • 뉴스1
  • 입력 2024년 3월 20일 12시 04분


ⓒ News1
ⓒ News1
지난해 전체 취업자 수가 32만 7000명 증가하는 동안 오히려 40대 취업자는 5만 400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인구 감소와 더불어 경제활동 참가율이 하락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신(新)고용취약계층 40대의 고용흐름과 시사점’ 보고서를 20일 발표했다.

경총은 최근 10년간 40대 인구를 중심으로 고용시장을 분석한 결과, 40대는 △남성 △비임금근로자 △제조업 부문의 취업자 수 감소가 두드러졌으며, △‘쉬었음’ 인구 △경력단절 여성 증가 등 노동력 유휴화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40대 취업자 수는 626만 명으로 2014년 대비 63만 6000명(△9.3%) 감소했다. 2022년보다 전체 취업자 수가 32만 7000명 증가했는데도 40대 취업자는 5만 4000명 줄어 20대를 제외한 연령대 중 유일하게 취업자 수가 감소했다.

이는 주로 40대 인구 감소로 인한 것이지만 40대의 노동시장 참여 둔화도 일정 부분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40대 인구는 지난해 796만 명으로 2014년 대비 약 75만 8000명 감소했다. 취업자와 실업자를 합친 경제활동인구(638만 명)도 2014년 대비 67만 3000명 줄었다.

40대 취업자 626만 명 중 남성은 367만 7000명(58.7%), 여성은 258만 3000명(41.3%)을 차지했다. 꾸준히 감소하는 남성과 달리 여성은 2022년부터 취업자 수가 증가세로 전환됐다. 지난 10년간 임금근로자 비중은 지속해서 증가한 반면, 자영업자를 포함한 비임금근로자 비중은 꾸준히 하락했다.

40대 실업자 수는 2018년 16만 8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후 점진적으로 감소해 지난해 12만 1000명으로 최근 10년간 가장 작은 규모를 보였다. 지난해 40대 비경제활동인구 수는 158만 2000명으로 2014년과 비교해 8만 5000명 감소했다. 그중 남성은 2014년보다 7만 3000명 증가했지만, 여성은 15만 7000명 감소했다.

40대 비경제활동인구 중 조사 대상 기간에 ‘쉬었다’고 답변한 인구수는 26만 5000명으로 2014년보다 8만 명 증가해 40대 유휴노동력의 증가가 심화했다. 2019년 이후 40대 퇴직자 중 비자발적 퇴직자 비중이 40%를 꾸준히 웃돌고 있다.

지난해 40대 경력단절 여성의 수는 59만 명으로 관련 조사 시작 이후 처음으로 30대 경력단절 여성 수(54만 4000명)를 넘어섰다. 과거보다 혼인 연령이 높아지고 출산이 늦어지면서 여성 경력단절 시기 역시 40대로 지연된 결과로 추정된다.

임영태 경총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이제까지 정부 일자리 정책이 청년, 고령자, 여성 등에 집중되어 온 만큼 40대, 특히 중년 남성을 위한 맞춤형 고용정책은 부족하다”며 “이제라도 40대 인력의 고용안정을 위한 별도의 일자리 대책이 논의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