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1년 2월 19일 충북 보은에서 2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난 이 옹은 18세가 되던 해인 1949년 4월 15일 군에 입대했다.
이후 해병대 1기로 지원했다. 그는 1950년 9월 해병대 제1연대 3대대 10중대 1소대 1분대장으로서 12명의 분대원을 이끌고 인천상륙작전에 참전했다.
고인은 해병대 창설 당시 열악한 장비와 380명의 적은 인원에도 불구하고 배고픔을 견디며 조국을 수호했다.
이 옹은 인천상륙작전 당시 배에서 내려 해안선에 모였을 때 함상 갑판에서 선글라스를 쓰고 파이프를 문 채 참모들과 작전을 논의하는 더글러스 맥아더(1880∼1964) 장군을 직접 봤다고 회상했다.
또 중동부전선인 가리산전투에서 적탄에 맞아 쇄골을 부상당하고도 4개월 만에 원대 복귀를 자청해 1951년 6월 양구 도솔산 전투에 참전했다.
당시 인민군이 점령 중이던 24개 고지를 되찾는 승리를 거뒀고, 이승만(1875∼1965) 대통령으로부터 ‘무적해병’ 친필 휘호를 받았다.
인천상륙작전 전에 1950년 8월 해병대 단독 작전이었던 통영 상륙 작전에도 참전했다. 이때 퓰리처상을 받은 종군 기자 마거릿 히긴스(1920∼1966)가 '해병대는 귀신도 잡을 수 있는 군대(They might capture even the devil)'라고 표현한 것이 '귀신 잡는 해병'이라는 말의 어원이다.
이밖에도 서울수복작전 등 6·25전쟁의 주요 전투들에 참전한 이 옹은 이후 해병대 신병훈련소 훈련교관으로서 후배 해병을 양성하다 1962년에 전역했다.
고인은 최근까지 대한민국 6·25참전 유공자회 경상북도 지부 고문으로 활동했고, 지난해 6월에도 경북 포항 해병대 1사단을 찾아 강연하고 후배들을 격려했다.
빈소는 경북 포항 세명기독병원 4층 VIP실에 마련됐다. 윤석열 대통령이 빈소에 조화를 보내 애도했다. 유족은 1남3녀로 이성실·이인실·이현실·이기홍(아들)씨와 사위 이문길 씨 등이 있다. 발인은 24일 8시 30분이며 장지는 경북 국립영천호국원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