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래: 전국책(戰國策)에서 유래한 성어입니다. 전국 시대, 초(楚)나라 양왕(襄王)이 국정을 돌보지 않자 초나라 대부인 장신(莊辛)이 양왕에게 여러 차례 잘못된 일을 고치도록 말했지만 양왕은 오히려 화를 내며 장신을 꾸짖기만 했습니다. 장신은 할 수 없이 조나라로 피신했지요. 5개월 후 진나라가 침공하여 초나라가 위태롭게 되자, 양왕은 장신의 충고가 옳았다는 것을 깨닫고 그를 불러들여 “과인이 애당초 그대의 말을 들었다면 오늘 이 지경에 이르지는 않았을 것이오. 이제 과인이 어찌하면 좋겠소?”라고 물었다. 이에 장신은 ‘양을 잃은 후 우리를 고쳐도(亡羊而補牢) 늦지 않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옛날 탕왕과 무왕은 백 리의 땅에서 나라를 일으켰고, 걸왕과 주왕은 천하를 가지고도 멸망했습니다. 지금 초나라는 수천 리의 땅이 있으니 어찌 백 리의 땅과 비교할 수 있겠습니까?”라고 답했습니다.
● 생각거리: 우리 속담 중에도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말이 있습니다. 하지만 소를 잃어도 우리를 잘 고치면 더 큰 손실을 막을 수 있다는 긍정적인 의미로도 사용할 수 있을 겁니다. 포기하지 말고 실패한 원인을 찾아 ‘망양보뢰’한다면 실패를 만회할 수 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