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장관 ‘국립대 감축’ 먼저 제안
발표 73일만에 의대증원 사실상 축소
의사들 “원점 재검토만이 해법” 냉담
정부가 2025학년도 의대 입학정원 증원 규모를 대학이 일정 범위 안에서 자율적으로 정하게 하겠다고 밝혔다. 4·10총선에서 여당이 참패한 후 9일, 의대 증원 발표 후 73일 만에 ‘2000명 증원’ 고수 입장에서 물러난 것이다. 이 같은 ‘자율 감축’ 방안은 정부가 국립대 총장들의 건의를 받아들이는 모양새를 취했지만 실제로는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총장들에게 먼저 제안했다고 한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19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대학이) 희망하는 경우 증원 인원의 50∼100% 범위에서 2025학년도에 한해 신입생을 자율적으로 모집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고 밝혔다. 한 총리는 “(전날) 6개 거점 국립대 총장들의 건의를 심도 있게 논의해 입장을 정리했다”며 이날 발표를 ‘과감한 결단’이라고도 했다.
그런데 동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이 건의는 이 부총리가 먼저 제안한 것이었다. 교육부 및 대학 관계자에 따르면 이 부총리는 17일 국립대 총장 몇몇을 만나 자율 감축 방안을 제안했고, 당시 참석자를 중심으로 총장 6명이 건의서를 작성해 18일 교육부에 전달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 부총리는 이날 브리핑에선 “총장들이 정부에 유연성을 발휘해 달라고 건의했고 범정부적으로 공감해 신속하게 총리와 장관이 결정을 내렸다”고 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 부총리가 총장들과 논의했다는 점은 인지하고 있었다”면서도 “대통령실이 (구체적으로) 숫자를 줄이라고 한 사실은 절대 없다”고 말했다. 건의에 동참한 국립대 6곳을 중심으로 정원 자율 감축이 이뤄질 경우 내년도 의대 증원 규모는 1500∼1700명이 될 전망이다. 이날 정부 발표에 대해 의사들은 ‘원점 재검토만이 해법’이라며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
의대 증원 2000명서 축소… 올해는 1500∼1700명선 늘듯
[의대증원 축소] 정부 “증원분 50~100% 자율결정” 이주호, 총장들 직접 만나 요청… “입시 일정 쫓기자 꼼수” 불만 나와 거점 국립대 9곳중 6곳만 동참… 사립대는 울산의대 등 일부 감축
교육-복지장관 무슨 얘기? 1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왼쪽에서 두 번째)이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과 대화하고 있다. 김동주 기자 zoo@donga.com이날 정부 발표로 내년도 의대 입학정원 증원분은 ‘2000명’ 대신 ‘1500∼1700명’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총정원은 현재 3058명에서 4500∼4700명으로 늘어난다. 증원분 감축은 지역 거점 국립대 중심으로 이뤄지는 반면 수도권 사립대는 일부만 동참할 것으로 보여 ‘지방 의료를 살리겠다’는 명분도 일부 퇴색이 불가피해졌다.
특히 모집 인원 감축을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국립대 총장들을 만나 먼저 요청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대학 사이에선 “정부가 의사들과 풀어야 할 문제를 국립대를 압박해 해결하려 했다”는 불만도 나온다. 이번 자율 감축 건의서에 지역 거점 국립대 9곳 중 6곳만 동참한 것도 이런 분위기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 사립대는 울산대 등 일부만 동참
건의서에 총장들이 이름을 올린 강원대 경북대 경상국립대 충남대 충북대 제주대는 내년도 대학입시 때 모집 정원에 배정된 증원분 60∼151명의 절반만 반영할 방침이다. 이 경우 선발 인원은 최소 70명(제주대)에서 최대 155명(충남대·경북대)이 된다. 이 대학들은 일단 2025학년도에는 증원분의 절반만 반영하고 대신 2026학년도부터 배정된 증원분을 모두 반영하겠다는 입장이다.
이 대학들은 내년도 의대 정원이 총 598명 늘어날 예정이었다. 이 대학들이 증원분을 50%씩만 선발하면 전체 증원 규모는 총 2000명에서 총 1701명으로 줄어든다. 건의서에 이름을 올리지 않은 전북대, 전남대, 부산대 등 국립대 3곳이 모두 참여할 경우 전체 증원 규모가 1500명대로 낮아지지만 일부 국립대는 감축을 거부하고 있다. 전남대 관계자는 “현재로선 증원 조정 계획이 없다”고 했다.
추가로 4월 말까지 사립대가 얼마나 자율 감축에 동참할지에 따라 최종 증원 규모가 결정된다. 사립대 중 자율 감축에 동참하겠다고 밝힌 곳은 현재로선 서울아산병원을 수련병원으로 둔 울산대 정도다. 이 대학은 의대 정원이 40명서 120명으로 늘어날 예정이었다. 울산대 관계자는 “증원 규모를 조정할 계획이 있다. 현재 어느 정도 조정할지 논의 중”이라고 했다. 다만 감축에 동참하더라도 규모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 사립대 총장은 “배정된 인원을 줄이더라도 감축 규모는 10, 20% 정도일 것”이라고 했다.
또 상당수 사립대는 배정 인원을 100% 다 선발하겠다는 입장이다. 인제대는 “정원이 93명에서 100명으로 소폭 늘어나는 만큼 배정된 정원을 유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미 늘어난 정원을 반영해 학칙을 개정하고 시행계획 변경 심의 신청을 마친 대학들도 자율 감축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 이 부총리 요청 두고 ‘대학 압박’ 불만도
‘자율 감축 방안’을 이 부총리가 먼저 제안한 것을 두고도 대학 사이에선 뒷말이 나온다. 정부가 의정 갈등을 제대로 풀지 못한 상황에서 입시 일정이 다가오자 대학을 압박해 이미 배정된 증원분 일부를 포기하게 만드는 ‘꼼수’를 썼다는 것이다. 모집 인원을 다 뽑지 않으면 대학은 등록금 손해를 감수해야 한다.
동아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이 부총리는 17일 일부 국립대 총장 등을 만나 내년도에 한해 의대 증원분의 50∼100% 안에서 대학이 자율적으로 결정하는 게 어떻겠냐고 제안했다고 한다. 이 자리에서 총장들은 “내년도 입시를 정상적으로 진행하려면 이달 중 정원을 학칙 등에 반영해야 하는데 의대 교수 등 학내 반발로 교무위원회 통과 등이 쉽지 않다”고 토로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자 이 부총리가 파국을 막기 위한 방법으로 자율 감축 방안을 제시했다는 것이다. 18일 교육부에 제출된 건의서도 이 자리에 참석했던 국립대 총장들이 주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자율 감축 방식에 회의적인 분위기도 있다. 한 대학 총장은 “올해 한 명이라도 증원되면 의대생과 전공의들은 안 돌아올 것”이라며 “2026학년도에 배정된 증원분이 모두 반영되는 만큼 ‘조삼모사’로 느끼지 않겠느냐”고 했다. 이달 말까지 확정된 각 의대의 최종 모집 인원은 다음 달 말까지 각 대학 홈페이지에 공고된다.
조유라 기자 jyr0101@donga.com 최예나 기자 yena@donga.com 전주영 기자 aimhigh@donga.com 부산=김화영 기자 run@donga.com
좋아요
2개
슬퍼요
2개
화나요
24개
댓글 147
추천 많은 댓글
2024-04-20 03:39:07
처음으로 정부가 국민을 위해 제대로 일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그냥 쭉 밀어붙여주세요. 인간의 생명을 갖고 장난질 치는 의사들 더이상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2024-04-20 08:10:47
올해 한정 탄력운용인 것을 모르는가. 게다가 정당한 명분과 논거를 제시하면 언제든 타협이 가능한 방향에서 전향적으로 수용할 수 있음을 밝혔다. 의료공백의 피로를 이야기하면서 빠른 타협을 요구할 때는 언제고 이제 타협점을 찾으니 총선을 거들먹거리며 의료개혁 실패를 이야기하고 자빠졌다. 참으로 가증스런 언론이 아닐 수 없다, 언론이 시소타듯 이리저리 이야기하니 안론의 신뢰는 항상바닥이다. 한심하고 가증스런 조중동이 아닐 수 없다,
2024-04-20 10:40:42
의사들이 환자 내팽기차고 나갈때는 아무런 말도 없더니 파국을 막아보려고 어쩔수없이 정원 축소하겟다고 하니 득달같이 정부를 비판하네. 기자들 수준이 이정도니 재명이랑 조국같은 범죄자가 득세하는 나라가 되엇지.
의료개혁을 저지한 주범은 얼빠진 국민들이다. 국회의원 수 줄이라고 하고도 표는 안주는 표리부동한 얼빠진 국민을 위해서 할 일이 무엇일까? 기슴 아프지만 한국민의 수준을 보면 남미 수준이 멀잖았다고 본다. 이재명 같은 놈을 지도자로 뽑는 나라라니 망해도 싸지 않는가?
2024-04-21 22:51:14
정부는 지방국립대에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자율권 준거 철회하시고 당초 원안대로 2000명으로 추진하세요. 몇 백명 감축하게 해준다고 의사든 국민이든 아무도 정부에 대해 박수치지 않습니다. 오히려 당초안 2000명 증원 근거에 흠집만 내는 꼴이되었으니. . .3개월이나 참아온 국민들은 질퍽대는 정부에 눈살을 찌푸리는 것이지요.
2024-04-21 21:58:26
이런걸 국쏟고 ㅂㅈ덴다고 하는겨. 증원 꺼냈다가 선거는 개박살나고 증원도 반으로? **들이나 하는 짓거리를 하고 있네. 이래서 정부여당이 더듬당한테 게임이 안되는거야. ㅉㅉㅉ
과학적.합리적 근거는 애당초 없이 천공의 계시로 밀어부친 정책으로 총선 대패하고 대학병원은 줄도산 위기.관련업체 종사자들은 실직 위기에 처해있다. 본인이 싸지른 똥은 수습도 못하고 의료붕괴가 얼마남지 않았는데도 똥꼬집을 계속 부리고 있음 원점재논의 해서 빨리 의료정상화하도록 노력하라 그리고 다시는 정치가 교육과 의료를 함부러 건드리지 않도록 뼈에 새기도록하라
2024-04-20 23:53:55
이럴꺼라 생각했다. 정부 생각을 국립대총장에게 시켰을꺼라고
2024-04-20 23:26:36
제발 개뿔도 모르면 댓글질 자제해라. 의사수가 지금보다 훨씬적던 20년전에도 응급실 뺑뺑이나 소아과 오픈런은 없었다니까!!! 총선용 쑈는 끝났고 의대생 전공의 다유급하고 교수사지갂지 하면 당장 내년부터 군의관 공보의 응급실 의사는 필리핀에서 빌려올래? 뒷감당 어떻게 하나 궁금했다 도망가지말고 해결해라!!! 증원 찬성하는 넘들 아비닮아 머리나쁜 니아들을 욕할일이지 공부잘한 죄밖에 없는 의사들이 왜 욕을먹냐? 의사욕은 하면서 지아들은 의대보내고 싶은ㅋ
댓글 147
추천 많은 댓글
2024-04-20 03:39:07
처음으로 정부가 국민을 위해 제대로 일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그냥 쭉 밀어붙여주세요. 인간의 생명을 갖고 장난질 치는 의사들 더이상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2024-04-20 08:10:47
올해 한정 탄력운용인 것을 모르는가. 게다가 정당한 명분과 논거를 제시하면 언제든 타협이 가능한 방향에서 전향적으로 수용할 수 있음을 밝혔다. 의료공백의 피로를 이야기하면서 빠른 타협을 요구할 때는 언제고 이제 타협점을 찾으니 총선을 거들먹거리며 의료개혁 실패를 이야기하고 자빠졌다. 참으로 가증스런 언론이 아닐 수 없다, 언론이 시소타듯 이리저리 이야기하니 안론의 신뢰는 항상바닥이다. 한심하고 가증스런 조중동이 아닐 수 없다,
2024-04-20 10:40:42
의사들이 환자 내팽기차고 나갈때는 아무런 말도 없더니 파국을 막아보려고 어쩔수없이 정원 축소하겟다고 하니 득달같이 정부를 비판하네. 기자들 수준이 이정도니 재명이랑 조국같은 범죄자가 득세하는 나라가 되엇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