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강을 오가는 대중교통 수단 ‘리버버스’가 해상교통관제센터(VTS)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은 채 운항해야 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6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서울시가 한강 수상 활동을 늘리는 ‘리버시티 서울’ 계획의 안전대책으로 내놓은 VTS 시스템 구축은 2026년 한강과 서해를 연결하는 국내여객터미널 서울항 개항 시점에 맞춰 개발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올 10월부터 운항 예정인 리버버스는 1년 넘게 해상교통관제센터 시스템 없이 운항해야 하는 것이다. 서울시는 올해 10월부터 150t급 199인승 여객선 8대를 리버버스로 운항한다.
VTS는 레이더 등을 이용해 관제 구역 내 선박을 관찰해 안전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야간이나 안개가 끼는 등 선박 운행 중 시야가 제대로 확보되지 않을 때 관제센터에서 오가는 선박에 충돌 위험을 알려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방식이다.
서울시는 VTS가 구축되기 전까지 리버버스 운행사인 이랜드 크루즈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리버버스간 소통 시스템을 통해 안전사고를 예방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이 시스템은 리버버스간의 소통만 가능해 서울시 차원에서 한강을 다니는 순찰정이나 유람선뿐만 아니라 카누, 카약 등 소형 선박과의 충돌 위험을 사전에 파악하고 관리하는 건 불가능하다. 서울시에 등록된 한강 내 소형 레저 선박 수는 2021년 2719척에서 지난해 3042척으로 증가했다. 향후 소형 레저 선박 운항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안전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서울시는 한강에서 운항하는 선박들을 관리할 수 있도록 폐쇄회로(CC)TV를 추가로 설치하고 선박별로 항로를 분리하는 내용을 담은 한강 운항 규칙을 만드는 등 안전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항로를 정비해 대형 선박이 운항하는 항로 안으로 수상 레저용 선박 등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부표를 띄우거나, 선박 번호판 크기를 키워 CCTV로 통항규칙 위반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대책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리버버스가 대중교통 수단으로 운항하는 만큼 서울시 차원에서 관리 감독할 수 있는 안전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국승기 한국해양대 해양경찰학부 교수는 “현재 어선들이 어선위치 발신장치를 통해 위치를 알리듯, 소형 레저 선박들에도 위치 식별장치를 부착해 충돌위험을 감지하게 하는 등 안전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