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역점 임대수수료 17% 못내’ 성심당 발표에 네티즌 뜨거운 반응

  • 뉴스1
  • 입력 2024년 5월 29일 11시 51분


코멘트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7일 로컬100으로 지정된 성심당의 대전역점을 찾아 임영진 대표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유 장관은 이날 임 대표와 지역 관광자원으로서의 성심당의 의미와 역할, 대전역점 상황등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문체부가 도울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2024.5.17/뉴스1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7일 로컬100으로 지정된 성심당의 대전역점을 찾아 임영진 대표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유 장관은 이날 임 대표와 지역 관광자원으로서의 성심당의 의미와 역할, 대전역점 상황등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문체부가 도울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문화체육관광부 제공) 2024.5.17/뉴스1
전국 3대 빵집 ‘성심당’이 대전역점의 임대 수수료율을 17% 적용하면 대전역에서 철수하겠다고 밝힌 것과 관련, 네티즌들의 반응이 뜨겁다.

성심당 운영사인 임영진 로쏘 대표이사는 지난 27일 뉴스1과의 전화 통화에서 “140명의 직원이 근무 중인 대전역점의 경우 지금 이상으로 임대료를 주고는 (대전역에)있을 수 없다”고 밝혔다.

임 대표는 “현재 임대료가 월 1억 원인 상황에서 4억 4000여만 원으로 오르면 4배 이상 뛰는 것으로, (운영비를)감당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연간 임대료로 50억 원이 지불된다면 다른 방법을 찾을 수밖에 없다”고 말해 대전역 주변으로의 임대 또는 건물 매입을 통한 이전을 강구할 수 있음을 내비쳤다.

성심당 오너인 임영진 로쏘 대표가 논란이 되고 있는 대전역점 임대료와 관련, 공식 입장을 밝힌 것은 처음이다.

코레일유통은 월 매출 추정가에 대한 최저 수수료율 17% 적용은 내부 규정에 따른 것이라며 바뀔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뉴스1 단독 보도 이후 기사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공유되면서 누리꾼들은 갑론을박 다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 누리꾼은 ‘매출대비 17%를 임대료로 책정하는 거 자체가 코레일의 이상한 방식. 박리다매하는 성심당 같은 업체는 들어오지 말라는 거임’이라고 적었다.

또 다른 누리꾼은 ‘연간 50억 임대료면 차라리 건물을 하나 세우는 비용이 더 싸게 먹힐 수도 있겠네요’라는 의견을 남겼다.

이밖에 ‘역 근처 위치 안 좋아도 건물 매입 또는 임대해서 새로 하는 게 나아 보임’ ‘성심당이니 그런 정도 매출 나오지 다른 업종은 어림없다. 다른 업종 임대주고 매출 대비 임대료 받으면 한 달 3000만 원도 어림없다’ 등의 반응도 보였다.

반면 한 누리꾼은 ‘코레일 입장도 이해함. 규정이기 때문에 성심당만 다른 비율을 적용하면 특혜가 됨’이라고 지적했다.

다른 누리꾼은 ‘성심당만 봐줄 순 없지. 다른 매장들도 다 임대료 깎아줄 것도 아니고, 다른 역에 이미 매출의 20~30% 내고 있는 매장들도 있는데 성심당만 봐주면 그게 적폐임’이라고 주장했다.

또 ‘코레일만 욕할 수 없는 일, 성심당이 나가야죠’라고 의견을 밝히기도 했다.

한편 코레일유통은 성심당이 임차 중인 대전역사 내 2층 맞이방 300㎡ 매장에 대한 4차 모집 공고를 내고 입찰을 진행했으나 적격자가 없어 유찰됐으며, 지난 27일 최초 입찰금액보다 30% 감액된 월 매출 기준 18억 1867만 원, 상한 27억 2800만 원, 수수료 3억 917만 4000원을 기준으로 하는 5차 모집공고를 냈다.

(대전=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