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차에 매달고 가네?” 10㎞ 추격해 음주운전자 붙잡은 시민 [따만사]

  • 동아닷컴
  • 입력 2024년 6월 20일 12시 00분


코멘트

30대 안전관리자 정민수 씨의 그날 밤 이야기

지난 3월 31일 새벽 3시 40분경 경기 시흥시 신천동 한 사거리에서 음주운전 차량이 정차한 쓰레기 수거 차량을 들이받은 뒤 피해자를 매달고 도주하는 모습. 뒤에서 정민수 씨(가명)가 운전해 쫓아가고 있다. 경기남부경찰청 제공
지난 3월 31일 새벽 3시 40분경 경기 시흥시 신천동 한 사거리에서 음주운전 차량이 정차한 쓰레기 수거 차량을 들이받은 뒤 피해자를 매달고 도주하는 모습. 뒤에서 정민수 씨(가명)가 운전해 쫓아가고 있다. 경기남부경찰청 제공
지난 3월 31일 어두컴컴한 새벽, 경기 시흥시 신천동 한 사거리를 지나던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이 길가에 서 있던 쓰레기 수거 차량을 들이박았다. 가해자는 차에서 내리지 않은 채 차를 요리조리 움직였다. 피해 차량 기사가 SUV로 다가와 대화를 시도하자, 가해자는 슬금슬금 속도를 올렸다. 이어 그대로 조수석 창문에 피해자를 매단 채 달아나기 시작했다.

이 광경은 당시 차를 몰며 인근을 지나던 30대 안전관리자 정민수 씨(가명)의 눈에 들어왔다. 정 씨는 대전에서 자격증 시험을 마치고 자택이 있는 시흥시로 올라오던 중이었다. 지인을 근처에 내려주기 위해 주변을 둘러보던 그는 사람이 차량에 매달린 걸 목격하고 위험한 상황임을 직감했다.

가해 차량이 피해자를 창문에 매단 채 도주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 ‘경찰청’ 영상
가해 차량이 피해자를 창문에 매단 채 도주하고 있다. 유튜브 채널 ‘경찰청’ 영상
정 씨는 “상식적으로 생각했을 때 차에 사람을 매달고 있으니까 바로 음주운전 같았다. 우측에 (쓰레기 수거) 차량을 박은 흔적도 있더라”고 설명했다.

정 씨는 즉시 가해 차량을 추격하며 112에 신고했다. “음주 차량으로 보이는데 사람을 매달고 있어요! 빨리 와주세요!” 시흥에 거주한 지 얼마 안 돼 길을 잘 몰랐던 정 씨는 경찰에게 정확한 위치를 설명하는 데 애를 먹었다고 한다.

가해 차량을 쫓아가는 정민수 씨(가명). 유튜브 채널 ‘경찰청’ 영상
가해 차량을 쫓아가는 정민수 씨(가명). 유튜브 채널 ‘경찰청’ 영상
경찰과 계속 통화하며 상황을 설명하던 정 씨는 자신의 차량으로 가해 차량을 가로막았다. 하지만 가해자는 계속 도주했다. 아직도 창문엔 피해자가 매달린 채였다. 정 씨는 “떨어지세요! 떨어지는 게 나아요!”라고 소리쳤다. 가해자가 정상적으로 운전하는 게 아니라 음주운전이 의심되는 상황이었기에 다른 차량이나 벽을 박는 등 2차 사고 위험이 있었다. 2분간 500여m를 끌려가던 피해자는 손에 힘이 빠지면서 땅으로 떨어졌다.

정 씨는 지인 A 씨를 그곳에 내려주며 피해자에 대한 구호조치를 부탁했다. 정 씨와 마찬가지로 안전관리자인 A 씨는 119에 신고한 뒤 병원까지 피해자를 인계했다. 당시 피해자는 스스로 일어나 걸을 수 있을 정도의 상태였지만, A 씨는 “혹시 모르니 병원 가자. 가서 검사 다 받아보셔야 한다”고 설득했다.

가해 차량에 매달려있던 피해자가 땅으로 떨어졌다. 유튜브 채널 ‘경찰청’ 영상 캡처
가해 차량에 매달려있던 피해자가 땅으로 떨어졌다. 유튜브 채널 ‘경찰청’ 영상 캡처
A 씨가 구호조치에 나설 동안 정 씨는 추격전을 벌였다. 시흥에서 인천 남동구 논현동까지 가해 차량의 뒤꽁무니만 보고 10㎞가량 쫓았다. 50분가량 운전하는 과정에서 과속 단속카메라에 찍히기도 했다. 경찰에 “단속 벌금 내주십니까”라고 물으니 긴급차량이 아니어서 안 된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정 씨도 “그러면 안 따라가겠습니다”라고 말한 뒤 추격을 이어가야 할지 고민했다. 이때 가해 차량이 순간적으로 비틀거렸다. 정 씨는 “일단 한번 가보겠습니다”라며 속도를 높였다. 다행히 단속 벌금은 추후 경찰 측이 해결해 줬다고.

막다른 길에 이르렀다. 가해자가 차를 버리고 냅다 달리기 시작했다. 정 씨도 차에서 내려서 뛰었다. 소방서를 지나고 개천을 따라 1㎞ 정도 달렸다.

정 씨는 “차에서 내릴 때는 무섭지 않았는데 이후 한 300m 정도 달렸을 때 무섭더라. 가해자가 뒤를 돌아보면서 ‘야, 따라오지 마’ 그랬다. 개천 쪽에는 카메라도 없고 새벽 시간이라 인적도 드물어서 만약 다치면 바로 구호조치가 안 되는 상황이었다. 혹시나 상대방이 흉기를 들었을 수도 있으니까 무서웠다”고 털어놨다.

그러던 중 가해자가 아파트 담벼락을 넘으려고 시도했다. 정 씨는 “이때 조금 웃겼다. 흉기 같은 게 없으니까 저렇게 필사적으로 달리나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담을 넘으려던 가해자가 넘어지자 정 씨도 담에서 내려와 다시 쫓았다.

가해자와 1m 정도 간격을 두고 계속 달렸다. 직접 가해자를 붙들진 않았다. 정 씨는 “혹시 제가 상대방을 잡았다가 상대방에게 상처가 생기면 폭행으로 역고소당할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이후 현장에 도착한 경찰이 가해자를 검거했다. 당시 가해 남성의 혈중알코올농도는 면허 취소 수준(0.08% 이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가해 남성을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도주치상), 도로교통법 위반(사고 후 미조치∙음주운전) 등 혐의로 불구속 입건하고 검찰에 송치했다.

가해자가 경찰에 검거됐다. 유튜브 채널 ‘경찰청’ 영상 캡처
가해자가 경찰에 검거됐다. 유튜브 채널 ‘경찰청’ 영상 캡처
경찰은 정 씨에게 “고생하셨다. 고맙다”고 인사하면서도 “다음부터는 따라가지 말라”고 당부했다. 만약 2차 사고가 났는데 가해자가 ‘무서워서 도망가다가 사고 났다’고 진술하면 정 씨가 책임을 져야 했을 수도 있다고.

정 씨는 “그때 저도 왜 보자마자 움직였는지 모르겠다”며 멋쩍어했다. 그는 “안전관리자라는 직업 때문에 사고가 나면 안 된다는 생각이 들어서 당시 (음주 차량을) 따라간 것 같다”고 말했다.

7년째 안전관리자로 일하고 있는 정 씨는 “직업의 주목적이 사고 예방이다 보니까 누구 하나 다치면 신경이 굉장히 날카로워진다”며 “이번 사건에서 크게 다친 분이 없어서 다행”이라고 안도했다. 이어 “사실 뉴스에 다 안 나와서 그렇지 아파트 현장이나 건설 현장에서 다치는 분이 많다. 안전관리자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일하시는 분들도 따라 주셔야 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며 “우리 사회도 마찬가지인 것 같다. 법을 만들어 놨는데 지키지 않으면 무슨 소용이겠나”라고 강조했다.

경찰이 음주운전 차량을 잡은 정민수 씨(가명)에게 감사장을 수여했다. 시흥경찰서 제공
경찰이 음주운전 차량을 잡은 정민수 씨(가명)에게 감사장을 수여했다. 시흥경찰서 제공
범인 검거에 크게 기여한 정 씨에게 경찰은 감사장을 수여했다. 정 씨는 “제가 뭐라고, 감사하다”며 “감사장을 받은 뒤 기사가 두 개 정도 났다. 그때는 ‘오예’하면서 가족과 친구들한테 기사 링크를 보냈다. 가족들은 다음부터 그러지 말라고 하시더라. 혹시나 보복할까 봐 걱정하셨다. 절대 그럴 일 없다고 안심시켜 드렸다. 제가 덩치도 있고 키도 가해자보다 커서 그런지 저한테 쉽게 다가오진 않더라. 사건 당시에도 저 자신을 좀 믿었던 것 같다”고 전했다.

이어 “언론사 인터뷰를 해도 한두 개나 방송에 나오겠지 생각했다. 나중에 가보로 남기자는 생각이었다”면서 “너무 크게 이슈가 돼서 조금 당황스럽다. 유튜브에 음주운전자 잡는 시민들 영상이 많이 올라오는데 그분들이 더 대단하시다. 저는 뭐 특출나게 한 것도 아니고, 크게 사연이 있는 것도 아니다. 사실 가해 차량이 속도가 빠른 차종이었으면 못 따라갈 수도 있었다. 제 차량과 속도가 비슷하게 날 수 있는 조건을 갖춰서 잡을 수 있던 거로 생각한다”며 겸손해했다.

그러면서 “기사가 난 뒤 초·중·고등학교 친구들한테 갑자기 전화가 온다. 동창회를 해야 할 것 같다”며 웃어 보였다.

음주운전 차량을 추격해 잡은 정민수 씨(가명). 이혜원 동아닷컴 기자 hyewon@donga.com
음주운전 차량을 추격해 잡은 정민수 씨(가명). 이혜원 동아닷컴 기자 hyewon@donga.com
20대에는 스키 패트롤(스키장 안전요원) 일을 한 적 있다는 정 씨는 “누가 옆에서 다쳐도 도와주지 않고 본인만 (스키를 타고) 내려가는 사람들이 많더라”며 안타까워했다. 그는 “요즘은 개인주의가 큰 것 같다. 가면 갈수록 더 심해지는 것 같다”며 “예전에 아파트가 없던 시절에는 골목에 많이 살았고 이웃끼리 왕래가 잦지 않았나. 요즘에는 밥도 혼자 먹고 1인 가구도 늘어나고… 어쩔 수 없이 받아들여야 하는 현실인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인생은 혼자 살 순 없더라. 누군가는 도와주고 끌어주고, 누군가는 밀어줘야 한다. 채찍질하는 사람이 있으면 당근을 주는 사람도 있어야 한다. 저희 현장에 있는 안전관리자들은 ‘안전’이라는 하나의 목표로 굉장히 잘 뭉친다. 현장에서도 채찍을 주는 사람이 있고 당근을 주는 사람도 있다”며 “서로서로 도와가면서 살자”고 강조했다.

■ ‘따뜻한 세상을 만들어가는 사람들’(따만사)은 기부와 봉사로 나눔을 실천하는 사람들, 자기 몸을 아끼지 않고 위기에 빠진 타인을 도운 의인들, 사회적 약자를 위해 공간을 만드는 사람들 등 우리 사회에 선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이웃들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주변에 숨겨진 ‘따만사’가 있으면 메일(ddamansa@donga.com) 주세요.
이혜원 동아닷컴 기자 hyewon@donga.com
#따만사#음주운전#추격#안전관리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