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안산·광명·양평에서 1회용품 사용 못한다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6월 18일 17시 40분


코멘트

경기도, ‘1회용품 없는 특화지구’ 조성
부천·안산·광명·양평 4개 시군 5곳 동참
김동연 “미래세대 위해 곳곳에 퍼져나가길 기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8일 오전 양평군 세미원에서 열린 1회용품 없는 경기 특화지구 조성사업 협약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왼쪽에서부터 박승원 광명시장, 전진선 양평군수, 김 지사, 조용익 부천시장, 김대순 안산부시장. 경기도 제공
경기 부천·안산·광명시, 양평군 등 4개 시군 5곳에 ‘1회용품 없는 특화지구’가 조성된다.

경기도는 18일 양평군 세미원에서 이들 4개 시군과 ‘1회용품 없는 경기 특화지구 조성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식에는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조용익 부천시장, 박승원 광명시장, 전진선 양평군수, 김대순 안산 부시장이 참석했다.

2026년까지 3년간 도비 30억 원을 투입해 지역이나 구역별로 특화지구를 정해 1회용품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사업자와 소비자 간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자발적으로 실천하는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이 목표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8일 오전 양평군 세미원에서 열린 1회용품 없는 경기 특화지구 조성사업 협약식을 마치고 조용익 부천시장, 박승원 광명시장, 전진선 양평군수, 윤순옥 양평군의회 의장, 김대순 안산 부시장과 함께 특화지구를 걷고 있다. 경기도 제공
협약에 따라 부천시는 가톨릭대, 부천대, 서울신학대, 유한대 등 4개 대학교 캠퍼스와 인근 263개 카페를 중심으로 서포터즈를 구성해 1회용품 사용자제 문화를 확산할 예정이다. 안산시는 다문화거리인 샘골로 먹자골목(263개 점포) 상인회와 협력해 1회용품 없는 거리 만들기에 나선다.

광명시는 무의공 음식문화 거리와 광명사거리 먹자골목 등 2곳(195개 음식점, 2개 카페)에 다회용기 인프라를 설치하고, 1회용품 제로데이 이벤트를 진행한다. 양평군은 세미원 관광지(63개 음식점, 18개 카페 18개, 6개 편의점)를 중심으로 친환경 탄소중립 테마 관광지구를 육성한다.

이 지역의 다중이용시설과 축제·행사에 다회용 컵을 지원하고, 다회용기를 대여·반납, 세척까지 하는 시스템이 구축된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8일 오전 양평군 세미원에서 열린 1회용품 없는 경기 특화지구 조성사업 협약식을 마치고 전진선 양평군수와 함께 세미원을 둘러보고 있다. 경기도 제공
김 지사는 인사말을 통해 “1회용품을 안 쓰는 행동이 경기도, 대한민국 곳곳에 퍼져나가기를 기원한다”며 “우리 자녀와 미래세대가 지속 가능하게 살 수 있으려면 지금부터 1회용품을 안 쓰고, 재생에너지와 기후변화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기업들의 수출길이 막히고, 기후 위기 대응에 얼마나 빨리 적응하는지에 따라 ‘기후 디바이드’(격차) 문제가 심각해질 것”이라며 “지금 정부의 소극적 기후변화 대응에 큰 유감을 갖고 있다. 한국이 세계시장을 잃는 실수를 저지르고 있다는 말도 있다”라고 주장했다.


조영달 기자 dalsarang@donga.com
#부천#안산#광명#양평#일회용품#1회용품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