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국종 “의대생 늘린다고 소아과 하겠나…필수의료 초토화 상태”

  • 동아닷컴
  • 입력 2024년 6월 20일 12시 41분


코멘트
19일 대전 유성구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열린 ‘명강연 콘서트’에서 이국종 국군대전병원장이 교사들을 대상으로 강연하고 있다. 뉴스1
19일 대전 유성구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열린 ‘명강연 콘서트’에서 이국종 국군대전병원장이 교사들을 대상으로 강연하고 있다. 뉴스1
이국종 국군대전병원장이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정책에 처음으로 입장을 밝혔다. 그는 의대 정원 확대가 필수의료 기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19일 이 병원장은 대전 유성구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지역 교사들을 대상으로 열린 ‘명강연 콘서트’에 참석해 “현재 의료계는 벌집이 터졌고 전문의는 더 이상 배출되지 않아 없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병원장은 “의사 교육은 강의식이 아니라 선후배 간 일대일 도제식으로 이뤄져 함부로 많은 수를 양성할 수 없다”며 “30년 전과 비교해 소아과 전문의는 3배 늘었고 신생아는 4분의 1 수준으로 줄었지만 정작 부모들은 병원이 없어 ‘오픈런’을 한다. 이런 상황에서 의대생을 늘린다고 해서 소아과를 하겠느냐”고 비판했다.

그는 “‘필수의료과가 망한다’는 말은 내가 의대생이던 30~40년 전부터 나왔다. 이는 정부 정책의 실패”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권이 달라지면 의료 정책도 달라진다”며 “지금 의사가 부족하다고 하는데 내가 전문의를 취득한 1999년에는 의사가 너무 많아 해외로 수출해야 한다고 했다. 얼마 전까지는 미용으로 의료 관광을 육성한다고 하더니 이젠 필수의료를 살려야 한다고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미 한국 필수의료는 초토화된 상태”라며 “해외에서 한국 같은 ‘응급실 뺑뺑이’는 상상도 할 수 없다. 미국은 환자가 병원에 도착하기도 전에 의사와 간호사가 대기하는데, 이런 시스템을 20년 전부터 갖췄다. 일본이 연간 1800번 닥터헬기를 띄운다면 한국은 미군헬기까지 동원해도 출동 횟수가 300번이 채 되지 않는다. 이런 게 필수의료이고 이런 시스템부터 다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병원장은 중증외상 분야 국내 최고 권위자다. 2011년 ‘아덴만 여명 작전’에서 총상을 입은 석해균 삼호주얼리호 선장과 2017년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를 넘어 귀순하다 총상을 입은 북한 병사를 살려내 주목받았다. 그는 지난해 12월 국군대전병원장에 취임했다.

이혜원 동아닷컴 기자 hyewon@donga.com
#의대 정원 증원#필수의료#이국종#국군대전병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