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스트 팬데믹은 신종 인플루엔자”…질병청, 대비·대응 계획 공개

  • 뉴스1
  • 입력 2024년 6월 20일 14시 38분


코멘트
2024년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 중점 과제.(질병관리청 제공) 뉴스1
2024년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 중점 과제.(질병관리청 제공) 뉴스1

코로나19 세계적 대유행(팬데믹) 이후 다음 팬데믹은 신종 인플루엔자일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정부가 이에 대비한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 전면 개정 초안을 마련해 20일 공개했다.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은 해마다 발생하는 계절 인플루엔자가 아닌 신종 또는 변종에 의한 대유행에 대비한 계획이다. 2006년 제정돼 지난 2011년과 2018년 두 차례 개정된 바 있다. 이번 개정은 6년 만이다.

이번 개정안은 그간 인플루엔자 대응에 대한 평가와 코로나19 팬데믹의 교훈을 토대로 유행 규모를 최소화하고, 중증화율과 사망률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내용을 담았다.

인플루엔자는 역사상 가장 큰 유행과 사망을 초래한 대표적인 호흡기 바이러스 질환이다. 해마다 유전자 일부가 변형(소변이)돼 계절 인플루엔자가 발생한다. 대유행은 서로 다른 바이러스 유전자의 재조합으로 새로운 바이러스가 탄생(대변이)해 나타날 수 있다.

신·변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으로는 스페인독감(1918년·사망 5000만~1억명), 아시아독감(1957년·사망 200만명), 홍콩독감(1968년·사망 200만명), 신종플루(2009년·사망 190만명) 사태 등이 있다.

최근에는 병독성이 높은 조류인플루엔자가 가금류, 철새 등 조류뿐 아니라 고양이, 돼지, 소 등 다양한 포유동물에서 발생하고 있다. 동물에서 사람으로 감염돼 사망한 사례들도 계속 보고되고 있다. 최근 미국에서 포유류인 젖소 간 조류인플루엔자 감염이 전파된 사례는 사람 간에도 전파가 가능함에 대한 위험신호 중 하나다.

noname012024년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 대응 과제.(질병관리청 제공) 뉴스1
noname012024년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 대응 과제.(질병관리청 제공) 뉴스1
세계보건기구(WHO)는 올해 초 다음 팬데믹이 신종 인플루엔자가 될 가능성을 경고하며 코로나19를 교훈 삼아 미리 준비할 것을 촉구했다. 질병관리청은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전 세계에서 이탈리아에 이어 두 번째로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 개정안을 마련했다.

신·변종 인플루엔자 대유행은 발생 시 코로나19를 뛰어넘는 대규모의 유행과 중증화·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 대비·대응 계획 개정안은 이러한 대유행 상황에서 유행 정점기를 최대한 지연시켜 의료체계 내에서 관리 가능한 수준을 유지하고, 중증 환자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에 초점을 맞췄다.

기존 계획과 이번 개정안의 차별점은 △조기 감시를 통해 유행 발생 전(前) 단계에서 위험신호를 탐지하고 가장 효과적인 대응 수단을 판별하는 것 △핵심 수단인 백신 개발을 100일/200일로 단축하기 위한 전략 △원헬스 전략을 통한 인수공통감염의 공동감시 및 경보 등이다. 대비 단계에서의 중점과제로 구성됐다. 유행 단계별 피해 최소화 전략을 대응 단계별로 구체화해 제시했다.

대비를 위한 세부 계획으로는 △국외 발생 감시와 국내 유입 및 국내 발생 감시 범위를 확대하고 변이바이러스를 신속히 확인하는 검사법을 개발하며 △초기 6개월 대응할 수 있는 수준의 치료제·방역물자 등을 사전에 비축 △다양한 백신 플랫폼을 개발 및 선정된 우선순위 병원체에 대한 시제품을 사전에 개발해 라이브러리를 만들고, 신속하게 대규모 접종을 위한 접종센터 등 인프라를 미리 구축 △원헬스 통합 감시 및 관리를 위한 조기경보체계 개발 등으로 구성됐다.

대응 분야에서는 유행 초기, 확산기, 회복기로 구분하여 해당 시기 주요 과제와 방역 전략을 담았다. 초기 3일 계획을 예시로 수록했다. 사회 필수 기능을 유지하고 장기간 일률적 봉쇄로 인한 사회·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사회 대응 조치를 효과성과 비용 효과에 근거해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질병관리청은 이날 심포지엄을 통해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 개정안에 대한 전문가 논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향후 전문가와 관련 부처 의견을 수렴해 조속한 시일 내에 최종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향후 언제라도 발생할 수 있는 신종 인플루엔자에 대비하여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면서 “이번에 마련한 계획을 통해 국민의 건강을 지키고, 사회·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인플루엔자 대유행 대비·대응 계획을 향후 국제사회에도 공유하여 글로벌 공중보건 위기 대응을 위한 협력을 선도하는 계기로 삼겠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