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외래환자 수족구병 의사 환자분율(외래환자 1000명당 의심 증상을 보이는 환자수)은 6월 둘째 주 기준 34.1명이다. 이는 최근 4주간 2.3배로 증가한 수치다.
수족구병이 크게 유행한 2019년의 같은 기간(29.3명)보다 높은 수준으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연령별로는 0~6세에서 전체 환자의 90.2%, 7~18세에서 9.7% 발생했다.
특히 수족구병 병원체 감시 결과, 심근염 등 중증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엔테로바이러스 71형(EV-A71)의 발생이 올해 들어 5건 확인됐다.
수족구병은 기온이 따뜻해지는 6~7월 사이에 많이 발생하는데, 최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본, 대만, 싱가포르 등의 국가에서도 증가 사례가 확인되고 있다.
주로 입이나 손, 발에 발진과 물집이 생기는 병으로 발열, 식욕 감소, 설사, 구토 등을 동반한다. 예방 백신이 없어 개인위생 관리가 중요하다.
손 등을 통한 분변-구강 감염뿐만 아니라 환자의 침, 가래, 콧물 등 호흡기 분비물을 통한 비말감염이 가능하다. 오염된 물을 마시거나 수영장을 이용했을 때도 옮길 수 있다. 환자가 만진 오염된 물건을 만져서 전염되는 경우도 많아 개인위생이 취약하고 집단생활을 많이 하는 영유아를 중심으로 발생 빈도가 높다.
영유아가 수족구병 의심 증상을 보이면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하고, 특히 38도 이상의 고열이나 구토, 경련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경우 신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 또 수족구에 걸린 영유아는 증상 발생 동안은 여전히 전염력이 강하기 때문에, 회복될 때까지 어린이집 등의 등원을 자제하도록 해야 한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수족구병은 아직 예방백신이 개발되지 않아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손 씻기 등 예방수칙 준수가 중요하다”며 “특히 영유아 보육시설에서는 수족구병 예방관리를 위해 손 씻기, 장난감을 포함한 물품 소독 등 위생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