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바가지 물가’에 대한 불만이 제기되는 가운데 최근 제주도의 유명 관광지 해녀촌에서도 바가지 물가 논란이 일었다.
11일 다수의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제주 용두암 해산물 가격’이라는 제목의 글이 공유됐다.
해당 글에는 제주도에 거주하는 부산출신 유튜버 A 씨가 지난달 용두암을 방문해 해산물을 구매하고 촬영한 영상을 캡처한 사진이 첨부됐다.
A 씨는 영상에서 “제주도 물가에 대해 이슈화가 많이 되고 있어서 직접 체험하고 보여드리고자 방문했다”며 용두암 바닷가 노상에서 해녀들이 해산물을 판매하는 곳을 찾아 가격을 물어봤다. 이곳에서는 소라, 해삼, 전복, 멍게 등을 섞어 양에 따라 3만원, 5만원에 팔고 있었다.
A 씨가 “제주산이냐”고 묻자 상인은 “멍게는 충무(통영)에서 온다. 전국적으로 다 양식이다. 배를 타고 온 거라 우리한테는 비싸다. 육지에서나 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제주산은) 소라와 해삼”이라며 “전복은 반양식”이라고 말했다.
A 씨는 소라, 해삼, 전복 등 3가지 해산물 5만원어치를 주문했다. 현금 5만원을 지불한 후 주문한 해산물을 받았고, 이후 그는 산낙지 가격을 물었다. 당시 상인들은 “1마리에 3만원”이라고 답했다. 가격이 비싸다고 느낀 A 씨는 해산물 모둠만 샀다.
바닷가 바위에 자리를 잡은 A 씨는 플라스틱 용기에 담긴 해산물을 보고는 탄식했다. 그는 “기장 연화리 해녀촌을 좋아하는데 거기 가면 3만원에 전복, 낙지, 멍게, 소라, 해삼(이 나온다)”이라며 “5만원은 좀 세다”고 했다.
이곳에서는 주류를 따로 판매하지 않아 A 씨는 인근 매점에서 3000원을 주고 소주 1병을 사 왔다. 그는 “식당 가격이랑 차이가 안 나는 것 같다”며 “소주도 비싸서 아껴먹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파도랑 비행기 소리를 들으면서 먹는다. 손님이 많다고 들었는데 (제주) 물가가 비싸다고 이슈돼서인지 사람이 별로 없다”고 했다. A 씨는 “분위기는 좋다”면서도 가성비가 전했다.
해산물을 판매하고 있는 상인들. 유튜브채널 ‘부산여자하쿠짱TV’ 영상 캡처누리꾼들은 이같은 A 씨의 리뷰에 “횟집 스끼다시(밑반찬) 같은데 5만원?”, “1만 5000원이 적당합니다”, “아직도 제주 가서 저런 걸 먹는 호구가 있다니”, “이러니 제주도 갈 바엔 해외여행 간다는 거다”, “세금도 안내면서 가격은 왜 이러는 건가” 등의 반응을 보였다.
자신을 제주도민이라고 밝힌 한 누리꾼은 “해녀촌 해산물 성인 두세 명 가서 먹으면 웬만한 횟집 가격 나온다. 안가야된다”며 “어촌계에서 변화하지 않는 이상 바가지 근절 안 되고 제주도 찾아주지 않을 거다. 제주 관광 제발 정신 차려야 한다”고 호소했다.
최근 제주도에서는 관광지 바가지 물가 논란이 일었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4인가족이 제주 유명 해수욕장에서 6만원을 주고 평상을 빌렸음에도 ‘자기 가게와 연관된 업체 음식을 주문해야 한다’며 사가지고 온 치킨을 먹을 수 없었다는 경험담도 올라와 논란이 되기도 했다.
제주도 측은 이같은 바가지 논란에 제주관광혁신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려 운영하고 있다. 이외에도 제주 관광 물가 동향 조사를 통해 제주 관광 물가 지수를 개발하면서 제주 관광 물가 안정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적당히 해야 손님들도 다시 오는거죠...해도 너무 한 것 아닌가요? 육지에서 양식된 것 사와서 비싸다면, 육지사람들이 비행기 배타고 제주 가서 사먹을 일 절대 없게 됩니다...가더라도 컵라면 햇반이나 사먹게 될 듯...경치구경이나 하고 돌아오게 되지 않을까요? 제주도민 여러분 입장바꿔 생각해 보고 적당하게 이윤넣어 장사합시다...
자연산 소라 전복 비싸요. 껍데기 벗기고 잘라서 그렇지 시장가서 자연산으로 저 정도 양 사보세요. 할매들 하루 종일 나가서 일해서 벌면 얼마나 번다고… 그냥 제주도 까서 관심끌려는 관종들은 여행 가지마시길… 외국가서도 싸네 비싸네 하면서 다니세요. 본인들 직장가서 서비스하는거 인건비 비싸다하면 기분 좋을까요???
2024-07-11 21:14:24
자업자득이다 제주도민은 눈앞의 이익만보고 앞을 내다보지 못하는구나 점점 경쟁력을 잃을것이다
2024-07-11 16:49:00
원희룡은 제주도를 중국 땅으로 만들었고 제주도는 중국인 천지가 되었는데 여기에 제주 장사하는 분들은 바가지 일색. 제주도 가느니 그 비용이면 가까운 외국에 가는 것이 더 좋은데. 이를 어찌해야 하나. 더 관광객이 줄어들고 망해야 정신 차릴까? 소탐대실이라 안타깝다.
2024-07-11 15:34:20
전라남도 제주군 을 왜가 제주를 간다는 건 그 모든 바가지를 용인 한다는 거니 불평말고 감수 하라는 거다
2024-07-11 13:55:33
제주도민 뭐하는가? 대통령 책임져라 탄핵해야 한다고 길길이 개거품 물어야지? 장사 안되니 안되는 만큼 정부에서 지원해 달라 민주당 앞세워 전도민 궐기대회 하고.
2024-07-11 13:34:55
중공 되놈들에게 조상 대대로 물려 받은, 자손 대대로 물려 줄 땅을 팔아먹는 제주도. 정말 대책없다. 제주도는 사람이 살 수 있는 땅은 얼마되지도 않는데, 그 땅의 27%가 중공 되놈들의 소유라는 말도 있으니, 조만간 중국 영토로 바뀌어, 비자 받아야 들어갈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그 때 되면 저거 한 접시에 수십만원은 줘야 할테니, 지금 많이 사 먹읍시다.ㅎ
2024-07-11 13:25:42
저런 데를 뭐하러 가는지 정말 이해가 안감 ㅍㅎ 우리나라 팔도강산에 갈 만한 곳이 얼마나 많은데 물가 비싸고 바가지 덮어 씌운다는 거 뻔히 알면서 제주도엔 왜 가누, 호구 인증하는 것도 아니고 ㅉㅉ
2024-07-11 13:05:25
4.3이나 ... 전라도보다 심한 개딸...관광객에게 바가지 겁나 씌워...제주도 가는 사람이 바보다.
2024-07-11 11:56:07
희안하게 그나라 사람들 관광객이 많이 오는 곳은 꼭 저렇게 망가지더라.
2024-07-11 11:55:19
열심히 그렇게 해라! 언젠가 어느 식당 사장왈! 손님이 적으니 먹기 살기 위해서 많이 받아야 한다" 라고 하더니 국민이 봉인가? 그렇게들 살아 가세요~ 긜고 비싸게 먹는 사람들 돈 많으니 그렇게 먹겠지 하고 일반 국민들은 그곳에서 안 먹고 관광만 하시면 됩니다. 먹을것도 들고 갑시다. 이젠 일부 지역들 관광객을 봉으로 보는 곳은 그런 운동도 해야 할때가 된 것 같아요~
댓글 13
추천 많은 댓글
2024-07-11 10:55:51
제주도에는 전라도출신이 많다면서.....
2024-07-11 10:31:34
적당히 해야 손님들도 다시 오는거죠...해도 너무 한 것 아닌가요? 육지에서 양식된 것 사와서 비싸다면, 육지사람들이 비행기 배타고 제주 가서 사먹을 일 절대 없게 됩니다...가더라도 컵라면 햇반이나 사먹게 될 듯...경치구경이나 하고 돌아오게 되지 않을까요? 제주도민 여러분 입장바꿔 생각해 보고 적당하게 이윤넣어 장사합시다...
2024-07-11 10:54:35
답이 없다 얘기해봐야 잔소리~~~망해라 제주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