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 상황실… 산림 재해 예측부터 수습까지 총괄
소방-경찰-지자체 등과 협업
24시간 당직 서가며 교대 근무
“빠른 판단으로 인명 피해 최소화”
‘띵동’ 하는 소리와 함께 빨간색 경고등이 요란하게 깜박이자 공기가 달라졌다. “가운데 모니터에 좌표(주소) 띄워주고 근처 폐쇄회로(CC)TV도 부탁합니다. 관련 기관 대응 상황 파악해 주세요.”
12일 정부대전청사 1동 15층 산림청 중앙사고수습본부. 산사태 신고 알림이 뜨자 김창현 중앙산림재난상황실장이 벽에 붙어 있는 대형 화면 6개에 눈을 고정한 채 사무실을 뛰어다녔다. 이곳은 5월 15일부터 10월 15일까지, 24시간 하루도 빠짐없이 돌아가는 일명 ‘산사태 상황실’이다. 장마철에 집중되는 산사태의 예측부터 수습까지 모든 것을 총괄하는 중심 조직(컨트롤타워)이다.
● 산사태 예측부터 수습까지 책임
상황실은 중앙사고수습본부 이름으로 산불, 산사태 상황실이 철에 따라 번갈아 가며 꾸려진다. 청장을 본부장으로 상황총괄반, 수습 상황관리반, 복구대책반, 홍보지원반, 행정지원반으로 구성된다. 산사태 상황실은 기상청 예보를 바탕으로 최대 48시간 앞까지 사태 가능성을 예측해 산사태 위기 경보 4단계(관심, 주의, 경계, 심각)를 발령하고 지방자치단체에 알린다. 그동안 읍면동까지 위기 경보를 내렸는데 올해부터는 ‘리’ 단위까지 행정구역을 더 좁혔다. 지방자치단체는 산림청 경보를 참고해 주민 대피 여부를 결정한다. 김 실장은 “4월 발족한 디지털산사태대응팀에서 산지, 도로, 급경사지, 비탈면 등 국내 모든 지표에 대한 정보를 분석해 입체적으로 재난 상황을 극복하고 있다”고 했다. 상황실에서 살펴보는 CCTV는 전국에 2만 대 정도다.
실제 사태가 발생하면 상황실에서는 소방, 경찰, 지방자치단체 등과 협업해 수습과 복구를 한다. 상황실에서는 이 모든 과정을 총괄한다. 생명과 직결된 현장인 만큼 빠른 대응을 위해 상황실에는 소방청 소속 직원 4명이 파견돼 산림청 직원과 근무한다. 이들은 전체 소방 신고 중 산사태 관련 신고를 전달하고, 현장에 맞는 소방 인력과 장비를 투입한다. 산불을 잡는 특수진화대원들도 산사태 상황에서는 인명 구조 등에 투입된다. 산림청은 산사태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산사태원인조사단을 운영해, 피해 현황과 발생 원인을 조사하고 복구 방안을 마련한다.
● 도시락과 졸음 방지 껌으로 버텨
상황실 불은 24시간 켜져 있다. 평소에 직원 12명이 3명씩 총 4개 조로 짝지어 교대로 주간 야간 근무를 12시간씩 선다. 근무자들은 끼니를 상황실 안에서 도시락이나 김밥, 컵라면 같은 간편식으로 해결할 때가 잦다. 산사태에 즉각 대응하기 위해서다. 야간 근무 때는 졸음과의 전쟁도 치러야 한다. 근무자 책상에는 씹으면 코끝을 때리는 ‘잠 깨는 껌’이 필수다. 소방청에서 파견 나온 이거행 소방경은 “산사태는 복합적인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어 모든 순간이 긴장되고 부담인 건 사실이지만, 인명 피해 없이 잘 마무리됐다는 보고가 들어오면 다시 일할 힘이 솟는다”고 했다.
늘 비상 상황이지만, 특히 비만 오면 초비상이다. 10일 전북 군산시 어청도에 시간당 146mm의 극한 호우가 퍼부었다. 당시 산사태 위기 경보는 가장 높은 단계(심각)였다. 평소 3, 4명이던 상황실 근무자도 20여 명으로 늘었다. 6일 오전 9시부터 10일 오전 9시까지 접수된 산사태 신고는 308건이다. 근무자들은 화장실 갈 시간도 없이 상황 파악과 수습에 매달렸다. 이때 일부 직원들은 사흘 동안 집에도 못 가고 사무실 간이침대나 의자에서 쪽잠을 자며 상황실을 지켰다고 한다. 산불과 산사태 시기에 맞춰 상황실 근무자들의 쪽잠 신세는 매년 반복된다.
이종수 산림재난통제관은 “산사태는 국민 생명과 재산이 달린 문제다. 근무자들은 짧은 시간에 정확하고 빠른 판단을 내려야 한다”면서 “늘 팽팽한 긴장 속에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며 일을 한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