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유학생 맞춤형 교육으로 지역 살리는 인재 키울 것”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7월 25일 03시 00분


코멘트

22대 전문대교협 회장으로 선출된 김영도 동의과학대 총장
전문대 교육 과정, 지역산업 특화
유학생 국내 적응 돕는 소양 교육… 지역사회 정주 유도해 인력난 해소
일반대 졸업생-만학도 증가 추세… 국가평생교육 장학금 지원 필요

지난달 제22대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장으로 선출된 김영도 동의과학대 총장은 17일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전문대가 지역 소멸 문제 해결에 앞장서겠다”며 “외국인 유학생들이 지역에 자리 잡고 살 수 있도록 맞춤형 직업교육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김동주 기자 zoo@donga.com
지난달 제22대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장으로 선출된 김영도 동의과학대 총장은 17일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전문대가 지역 소멸 문제 해결에 앞장서겠다”며 “외국인 유학생들이 지역에 자리 잡고 살 수 있도록 맞춤형 직업교육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김동주 기자 zoo@donga.com

“지역에 청년 인구가 줄며 기업이 일할 사람을 못 찾고 있습니다. 전문대는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넘어 이들이 지역에 정주할 수 있도록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지난달 제22대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장(전문대교협)으로 선출된 김영도 동의과학대 총장은 이달 17일 서울 중구 전문대교협 회장실에서 가진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전문대가 전국 곳곳에서 지역 소멸을 막는 데 기여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학령인구 감소와 함께 수도권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수험생이 늘면서 각 지역 전문대들은 생존 위기를 겪고 있다. 9월 5일부터 2년의 임기를 시작하는 김 차기 회장으로부터 향후 전문대의 생존 전략에 대해 들어봤다.

―외국인 유학생 정주를 왜 강조하나.

“지역에 청년이 부족하다. 인구 절벽도 문제지만 지역 산업체에서 일하려는 청년이 없는 게 더 큰 문제다. 2000년대 중반 정부가 ‘스터디 코리아 프로젝트’를 발표하고 외국인 유학생을 10만 명 유치하자고 했을 때 목표는 국내 대학 진학자를 늘리는 것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한국에서 공부한 뒤 본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국내 지역사회에 취업해 정주할 수 있는 인재가 필요하다. 지역사회에선 외국인 유학생이 아니면 지역 소멸을 해결할 수 없다는 분위기다. 그리고 정주형 인재를 키우는 것에는 일반대보다 취업에 특화된 전문대가 유리하다.”

―외국인 유학생을 위해 교육과정을 어떻게 바꾸고 있나.

“지금까지는 외국인 유학생에게 별도 교육과정을 적용하지 않았다. 한국어도 잘 못 하는데 한국 학생과 똑같이 교육하니 이해도가 떨어져 중도에 하차하는 경우가 많았고 졸업 후에도 취업이 잘 안 됐다. 지금은 외국인 유학생만 별도로 교육하는 전문대가 많다. 절반가량은 전공과목을 가르치고, 나머지는 유학생이 지역사회에 잘 적응해 살 수 있도록 소양 교육을 한다. 예를 들면 조선소에서 일할 때 알아야 할 한국어 전문용어, 서비스직에서 알아야 하는 한국식 문화 및 법률 교육 등이다. 외국인 유학생만 모아 교육하니 적응이 빠르고 결석이나 중도 탈락도 적다. 지역 기업들도 외국인 유학생이 취업을 약정하면 장학금도 주겠다며 반응이 좋다.”

―전문대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은 얼마나 되나.

“지난해 기준으로 1만7129명이다. 전체 외국인 유학생(18만1842명)의 9.4%다. 정주형 교육과정이 자리 잡으면 올해 말에는 전문대에 재학하는 외국인 유학생이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본다. 2027년까지는 3만 명을 넘을 것으로 예상한다.”

―전문대로 오는 외국인 유학생의 특징은 뭔가.

“졸업 후 취업하기 좋은 전공을 찾는 경우가 많다. 한국 학생은 공학계열 전공을 기피하는 추세지만, 유학생은 상대적으로 취업과 고임금이 보장되는 제조업 관련 공학기술 분야를 선호한다.”

―일반대 졸업 후 전문대로 재입학하는 학생도 늘고 있다.


“우리는 ‘유턴 대학생’이라고 부른다. 일반대를 중퇴하거나 졸업한 뒤 전문대로 다시 입학하는 신입생이 2020년 1571명이었는데 올해는 1922명으로 증가했다. 대부분 뒤늦게 적성과 취업을 알아차리고 전문대에 입학하는 경우다. 학과별로는 사회복지과, 요양서비스과, 부동산과 등에 많이 온다.”

―늦깎이 입학생도 계속 늘고 있다.

“일반전형으로 입학한 25세 이상 성인 입학생이 2020년 2만2762명에서 올해 3만6842명으로 60% 이상 증가했다. 일정 연령 이상이어야 해당하는 만학도 전형 입학생도 같은 기간 1664명에서 1835명으로 늘었다. 고등교육법 시행령이 최근 개정되면서 대학이 성인 학습자 모집 시기를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된 덕분에 평생 직업교육 수요는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성인학습자에게 전문대가 갖는 강점이 뭔가.

“전문대는 수업 연한이 일반대보다 짧고 전직, 재취업, 창업하기 좋은 전공이 많다. 또 실무 교육이 이뤄져 성인학습자나 만학도에게 매력적이다. 또 본인이 갖고 있는 경력이나 지식, 기술을 학점으로 인정받는 제도(사전경험학습인정제)가 있어 학업 부담도 줄일 수 있다. 다만 성인학습자 중에는 등록금 부담이 크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 정부가 복지 예산 일부를 국가평생교육 장학금으로 전환하면 경력 단절을 줄이고 고용률도 올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

―등록금 동결 정책으로 인한 타격은 어느 정도인가.


“전문대는 실습이 수업의 60% 이상이다. 현장과 똑같은 미러형 실습실을 구현해야 하고, 기자재도 수시로 구입해야 하는데 장기간 등록금 동결로 학생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 이제 등록금 현실화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등록금 동결 기간에 물가와 최저임금이 인상된 걸 감안하면 등록금은 사실상 인하됐다. 그렇다 보니 우수한 교원 채용이나 교육환경 개선이 어려워지며 대학의 경쟁력이 저하됐다. 정부는 대학 구성원과 학생회가 동의하면 대학이 등록금을 자율적으로 결정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직업교육법 신설도 강조하고 있다.

“미국과 유럽에는 직업교육과 직업교육기관에 대한 법을 따로 두고 지원하고 있다. 한국은 직업교육법이 별도로 없고 고등교육법과 평생교육법에 일부 포함돼 있다. 그렇다 보니 국가 직업교육 기본계획을 수립할 수도 없고, 중장기적 직업교육을 도모할 수도 없다. 임기 내 직업교육법 신설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동의과학대#김영도 총장#인터뷰#전문대#지역 소멸#문제 해결#외국인 유학생#정주형 인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