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에 ‘극한기상 대비’ 댐 14개 짓는다…文정부 ‘백지화’ 6년만에 뒤집어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7월 30일 14시 00분


코멘트

220만 명 연간 2억5000t가량 쓸 물 공급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수자원공사
정부가 홍수‧가뭄 대비, 미래산업 용수 공급 등을 위한 기후대응댐 후보지 14곳을 선정해 발표했다. 2018년 9월 문재인 정부에서 선언한 댐 신규 건설 백지화를 6년 만에 뒤집은 것이다. 정부는 다음 달 지역 설명회 등을 거친 뒤 댐별 기본구상, 타당성 조사, 기본계획 수립 등의 후속 절차를 진행할 방침이다.

환경부는 3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기후위기로 인한 극한 홍수와 가뭄에 대비하고 국가 전략산업의 용수 수요 등을 위한 기후대응댐 후보지 14곳을 발표했다. 후보지는 4대강 권역 14곳으로, 계획한 댐은 총 저수용량 1억t 이하의 중소형이다.

기후대응댐 후보지, 한강권역 4곳, 낙동강권역 6곳, 금강권역 1곳, 영산강·섬진강권역 3곳
환경부에 따르면 기후대응댐 후보지는 다목적댐 3곳, 홍수조절댐 7곳, 용수전용댐 4곳이다.

권역별로 보면 한강권역이 4곳, 낙동강권역이 6곳, 금강권역이 1곳, 영산강·섬진강권역이 3곳이다. 한강권역 후보지는 △경기 연천 아미천(다목적댐) △강원 양구 수입천(다목적댐) △강원 삼척 산기천(용수전용댐) △충북 단양 단양천(용수전용댐), 낙동강권역은 △경북 청도 운문천(용수전용댐) △경북 김천 감천(홍수조절댐) △경북 예천 용두천(홍수조절댐) △경남 거제 고현천(홍수조절댐) △경남 의령 가례천(홍수조절댐)△울산 울주 회야강(홍수조절댐), 금강권역은 △충남 청양 지천(다목적댐), 영산강·섬진강권역은 △전남 화순 동복천(용수전용댐) △전남 순천 옥천(홍수조절댐) △전남 강진 병영천(홍수조절댐)이다.

정부는 신설하는 기후대응댐으로 약 220만 명의 시민이 쓸 수 있는 연간 2억5000t가량의 물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정부는 이 물로 홍수‧가뭄 등 자연 재해와 국가 전략산업 수요에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환경부 관계자는 “극한 홍수와 가뭄, 미래 용수 수요 증가에 대비하기 위해 지난해 5월부터 유역별로 홍수의 위험성과 물 부족량 등을 과학적 데이터에 기반해 평가했다”며 “이후 국가 차원에서 추진할 필요가 있는 기후대응댐 후보지를 도출했다”고 했다.

환경부는 8월부터 지역 설명회, 공청회 등을 통해 주민들의 우려 사항 등에 대해 설명하는 한편, 관계기관과의 협의 과정을 거칠 계획이다. 협의가 마무리되면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에 댐 후보지를 반영하고 댐의 위치, 규모, 용도 등을 확정할 계획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댐 건설을 위해 도로, 상·하수도, 수변공원, 캠핑장 등 댐 주변 지역 지원 예산을 대폭 상향할 예정”이라며 “지역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 기존 댐의 우수 사례를 벤치마킹할 것”이라고 했다.

한국수자원공사 제공
한국수자원공사 제공
정부 “댐 있었다면 포항 태풍 피해 예방”
환경부에 따르면 다목적댐 건설은 2010년 착공된 경북 영천시 보현산 다목적댐 이후로 14년간 추진되지 않았다. 문재인 정부는 2018년 9월 ‘지속가능한 물 관리’를 선언하며 댐 신규 건설을 백지화한 바 있다.

정부는 경북 포항 냉천 유역도 상류에 항사댐을 미리 건설했다면 2022년 태풍 힌남노 피해를 줄일 수 있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광주·전남 가뭄 당시에도 화순군 동복천댐이 없어 어려움을 겪었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지방자치단체에서도 그간 홍수 방어 등을 위한 기후대응댐 건설을 건의해 왔다고 환경부는 밝혔다. 환경부 관계자는 “지자체의 건의에 따라 댐 별로 적정성을 면밀히 검토했고, 필요한 댐들은 후보지에 반영했다”고 했다.

#4대강#댐 건설#기후대응댐#文정부 백지화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